4일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연설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출처=연합뉴스]
4일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연설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출처=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경제 회복을 위한 개혁 과정에서 일정 수준의 고통이 따를 수 있음을 암시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여전히 '미국의 황금기(Golden Age)'를 약속하고 있지만, 최근 일련의 관세 부과 및 번복이 무역 전쟁과 주식 시장 급락을 초래하면서 정부 기조에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취임 후 첫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에서 '미국의 황금기'를 강조하며 "관세는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만들고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드는 것에 관한 것"이라며 "약간의 혼란이 있을 수 있지만 별로 심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때 주식 시장의 반응을 정책 평가 기준으로 삼았던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시장 반응 때문에 관세를 유예했느냐"는 질문에 "난 시장을 보지도 않는다. 장기적으로 보면, 지금 벌어지는 일들 덕분에 미국은 매우 강한 나라가 될 것"이라고 답하기도 했다.

또 2월 비농업 고용이 비교적 양호했지만, 시장 예상치에는 다소 못 미치자 일론 머스크에게 연방 정부의 대대적 구조조정 권한을 부여한 트럼프 대통령은 제조업 일자리 증가에 주목했다.

그는 "노동 시장은 아주 좋아질 것이다. 다만 정부 일자리 대신 고임금 제조업 일자리가 늘어나게 될 것"이라는 반응을 내놨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는 분명하다. 단기적인 고통이 있더라도 제조업을 미국으로 되돌리는 게 그만한 가치가 있다고 주장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얼마 전까지만 해도 문제되지 않던 경제 현실이 점점 냉혹하게 다가오면서 이 같은 발언들이 나왔다고 짚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 수장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도 7일 재정 지출 의존을 낮추기 위해 미국 경제에 '해독(detox)'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베센트 장관은 지난 주초에는 트럼프 행정부의 초점은 월가가 아니라 실물 경제에 맞춰져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키워드
#트럼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