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이 생산한 철강제품 모습. [출처=현대제철]
현대제철이 생산한 철강제품 모습. [출처=현대제철]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2기가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25% 관세 조치를 본격 시행한 가운데, 한국 정부가 즉각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12일(현지시간) 예고한 대로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조치를 실행했다. 한국은 미국에 철강·알루미늄 제품을 주요 수출하고 있는 국가 중 하나로, 이번 조치가 국내 철강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12일 정부는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민관합동 전략 회의를 마련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경제단체, 산업계 관계자 및 학계 전문가들이 참석해 철강·알루미늄 관세 조치의 영향과 장단기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회의에서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미국 방문을 통해 진행된 대미 협상 동향 및 향후 계획이 공유됐다.

안덕근 장관은 "산업부는 1월 말부터 비상 대비 태세를 갖추고 업계와 밀착 소통하며 대응해왔다"며 "4월 초 예고된 상호관세 부과 등을 앞두고 대응체계를 더욱 강화해 산업계의 이익을 최대한 보호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 "미국 측과 통상교섭본부장 등 고위급 및 실무 협의를 밀도 있게 진행하는 한편, 주요국들의 대응 동향을 모니터링하며 산업계의 불이익을 최소화하겠다"고 했다.

정부는 이번 관세 조치에 대한 대응을 위해 업계 차원의 적극적인 대미 협력도 요청했다.

안 장관은 "산업계에서도 미국 내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아웃리치 활동을 전개하고, 정부와 실시간으로 동향을 공유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는 철강·알루미늄 관세 조치를 시작으로, 향후 미국의 추가 관세 조치에 대비한 업계 설명회, 헬프데스크 운영, 제3국 시장 개척 및 생산기지 이전 컨설팅 등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철강·알루미늄 외에도 향후 추가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있는 자동차 등 주요 산업의 경쟁력 강화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