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투자은행(IB)들이 올해 우리나라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1.6%로 낮췄다. [출처=연합뉴스]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이 올해 우리나라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1.6%로 낮췄다. [출처=연합뉴스]

우리나라의 가계, 기업, 정부부채를 합산한 ‘국가총부채’가 620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제결제은행(BIS)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원화 비금융부문 신용은 총 6222조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약 250조원(4.1%) 증가했으며, 직전 분기보다는 약 55조원(0.9%)이 늘어난 수치다. 세부적으로는 기업부채가 2798조원, 가계부채가 2283조원, 그리고 정부부채는 1141조원으로 구성돼 있다.

비금융부문 신용은 국가 간 비교를 위해 주요 경제 주체인 가계와 기업, 정부의 부채를 합산한 금액으로 일반적으로 국가총부채 또는 총부채로 지칭된다.

코로나19 팬데믹이 한창이던 지난 2021년 초반 처음으로 총 부채 규모가 5000조원을 넘었고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현재는 6000조원을 초과했다. 특히 정부부채의 경우 최근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작년 같은 시점과 비교하면 정부부채는 약 120조원(11.8%) 급증했다.

기업 부문에서는 약 80조원(2.9%), 가계 부문에서는 약 46조원(2.1%)씩 증가하며 각각 부채 규모를 확대해왔다.

하지만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 부채 비율은 점차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GDP 대비 총 부채 비율은 247.2%로 기록됐으며 이는 지난 몇 년간 가장 낮은 수준이다.

특히 기업과 가계의 GDP 대비 부채 비율은 하락세다. 지난해 말 기업의 GDP 대비 부채 비율은 연속적인 감소세 끝에 111.1%까지 떨어졌으며, 가계 역시 네 분기 연속 감소하여 최저치인 90.7%까지 내려갔다.

그러나 정부의 경우 상대적으로 하락 추세가 뚜렷하지 않았다. 절대 수준은 낮지만 지속적인 상승을 보여 왔으며 최근에는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