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HMM 컨테이너선 [출처=HMM]
부산항 HMM 컨테이너선 [출처=HMM]

글로벌 해상운송 운임이 트럼프 관세에 타격을 입으며 9주 연속 하락했다.

미국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과 신규 물동량 유입 제한 등으로 원인으로 지목된다. 트럼프 새 행정부가 중국을 상대로 한 ‘관세 전쟁’의 고삐를 쥐면서 운임 하락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컨테이너선 운임시황을 나타내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 14일 기준 전주 대비 114.96포인트 하락한 1319.34를 나타냈다. 

2500선에서 새해를 출발한 SCFI는 줄곧 내리막을 타고 있다. 9주간 절반 수준으로 가파르게 하락했다. SCFI가 1300선으로 떨어진 것은 14개월여 만이다.

주요 항로의 운임은 하락하고 있다. 특히 미주 노선의 운임 하락이 두드러진다. 이는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미주를 오가는 물동량 감소 우려가 커진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3월 2주 미주 서안항로 운임은 FEU(40피트 컨테이너)당 1965달러로 전주보다 326달러 하락했다. 미주 동안항로 역시 FEU당 전주 대비 352달러 떨어진 2977달러를 기록했다. 유럽항로는 TEU(20피트 컨테이너)당 1342달러로 집계됐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내림세를 타고 있는 컨테이너 해상운임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하락폭을 키우고 있다. 미국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과 실수요 둔화, 공급과잉 우려가 겹치며 시황의 하방 압력이 거세지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트럼프 1기에 대중 관세전쟁이 집중됐던 것과 달리 새 행정부에서는 중국, 캐나다, EU, 멕시코 등 전방위적인 관세 전면전이 펼쳐지고 있다. 트럼프는 중국산 수입품에 20% 추가 관세를 부과했으며 지난 12일부터 철강·알루미늄 수입제품에 25% 일괄 관세를 발효했다.

미국은 다음달 자국과 교역하는 모든 나라에 대해 상호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이는 상대국이 미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율 수준에 맞춰 동등한 관세를 매기는 정책이다. 트럼프가 자국 산업 보호를 들어 관세전쟁을 이어가면서 주요국들도 보복 관세로 맞서는 모양새다.

이같은 주요국의 무역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해운업계는 수요 위축과 수급 불균형의 타격을 입고 있다. 실제 북미 및 유럽 수요가 영향을 받고 있으며 대외환경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화주-선주간 가격 및 운송조건 협상이 길어져 시장을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해상운임 시장은 당분간 불확실성의 소용돌이 속에 놓일 전망이다. 내달까지 대중국 관세 확대, ‘무역법 301조’ 발동 여부,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 재협상 등 통상정책에 영향을 줄 굵직한 이슈들이 이어진다.

한국해양진흥공사는 “미국의 대외경제정책 불확실성으로 컨테이너선 운임은 낙폭을 키우고 있다”면서 “미국의 관세 관련 발표가 향후 컨테이너 운임 변화에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