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
[출처=연합]

중산층으로 분류되는 소득 상위 40∼60% 가구의 여윳돈이 3분기 연속 감소하며 5년 만에 다시 70만 원을 밑돌았다. 이는 부동산 구입에 따른 취·등록세와 이자·교육비 등이 크게 늘어난 결과로 분석된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작년 4분기 소득 3분위(상위 40∼60%) 가구의 실질 흑자액은 전년 대비 8만8000원 줄어든 65만8000원이었다. 이는 2019년 4분기 이후 가장 적은 수치이며 흑자액이 다시 70만 원 아래로 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흑자액은 소득에서 비소비지출과 소비지출을 뺀 금액으로 가계의 여윳돈을 의미한다. 코로나19 사태가 끝난 후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작년부터는 감소폭이 커지고 있으며 전체 가구 평균 흑자액이 증가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1분위 가구는 지난해 마이너스를 기록했지만 대부분 플러스 성장을 보였고 고소득층인 5분위도 흑자액 증가를 나타냈다. 중산층의 경제적 안정성이 흔들리는 이유로는 교육비와 이자·취등록세 등 비소비지출 증가가 지목된다.

대한상공회의소 보고서를 보면 중위소득 계층에서는 가계부채와 이자비용 증가로 인해 소비 여력이 하락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경제·사회계층에서 허리를 이루는 중산층의 경제적 안정성이 균형적인 성장 척도로 평가받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