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롯데글로벌로지스]
[출처=롯데글로벌로지스]

 

롯데글로벌로지스가 유가증권(KOSPI) 시장 상장을 본격 추진한다.

롯데글로벌로지스는 24일 KOSPI 상장을 위해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글로벌 물류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장기적인 성장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이번 공모를 통해 총 1494만4322주를 발행하며, 주당 공모 희망가는 1만1500원에서 1만3500원이다. 공모가 밴드 상단 기준으로 총 2017억 원을 조달할 계획이다.

오는 4월 24일부터 30일까지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해 공모가를 확정한 후, 5월 12일과 13일 일반 청약을 진행한다. 상장 대표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과 삼성증권이며, 공동주관사는 KB증권이 맡았다.

롯데글로벌로지스는 롯데그룹 계열의 글로벌 종합 물류 기업으로, 국내외에서 택배, 공급망 관리(SCM), 글로벌 물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22년 1월에 가동을 시작한 진천 ‘중부권 메가 허브 터미널’을 중심으로 신속하고 정밀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전국 21개 터미널과 37개 지점, 1000여 개 대리점을 운영하며 연간 5억 건 이상의 물동량을 처리하고 있다. 현재 시장 점유율 2위를 기록 중이다.

특히, 메가 허브 터미널 가동 이후 서브터미널 5곳을 추가 개설해 운영 중이며,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물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고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두고 있다. 또한, 물류 중심지를 분산하는 ‘허브앤스포크(Hub & Spoke)’ 방식의 완전 전환을 추진하며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창고관리 시스템(WMS)과 운송관리 시스템(TMS) 등 첨단 IT 기술을 기반으로 물류 운영을 최적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실시간 재고 관리, 운송 경로 최적화, 자동 주문 처리 시스템을 구축해 물류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고객은 실시간으로 물류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데이터 기반의 정밀한 의사결정이 가능해졌다.

국제 물류 부문에서도 롯데글로벌로지스는 포워딩, 인터모달(복합운송), 항만 운영, 국경 간 전자상거래(CBE)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며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특히, 그룹사 물량을 기반으로 우대운송계약(Service Contracts, S/C)을 확보해 신규 화주 유치에 유리한 입지를 다지고 있으며, 항공운송 품질 인증인 ‘CEIV Li-Batt’를 획득해 배터리 및 특수화물 운송에서도 강점을 보이고 있다.

국경 간 전자상거래(CBE) 부문에서는 인천 국제특송센터 내 글로벌권역물류센터(GDC)와 홍콩 GDC를 운영 중이며, 향후 부산항과 싱가포르에도 GDC를 추가로 구축해 아시아 지역에서 최적의 물류 플랫폼을 형성한다는 계획이다.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지속적인 투자와 운영 효율화를 통해 실적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4년 연결 기준 누적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1.12% 증가한 902억 원을 기록했다. 반면, 매출액은 1.13% 감소한 3조5733억 원을 기록했으나, 당기순이익은 173.32% 증가한 405억 원을 달성하며 수익성을 크게 개선했다.

회사는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 친환경 및 스마트 물류 솔루션 도입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수소 및 배터리 물류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수소 화물차 전환, 수소 충전소 건설, 배터리 물류 시스템 확립 등 다양한 친환경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과 미래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강병구 롯데글로벌로지스 대표이사는 “이번 유가증권 시장 상장은 글로벌 물류 시장에서 롯데글로벌로지스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상장을 통해 확보한 자금을 바탕으로 첨단 물류 인프라를 고도화하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