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기영 스노우플레이크코리아 지사장. [출처=스노우플레이크코리아]
최기영 스노우플레이크코리아 지사장. [출처=스노우플레이크코리아]

최기영 스노우플레이크코리아 지사장이 "서울 리전에서 아마존웹서비스(AWS) 기반 서비스에 이어 마이크로소프트(MS) 애저 기반 서비스도 지원하게 됐다"며 "고객사들이 더욱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서 시너지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 지사장은 25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이 말했다. 

스노우플레이크는 그간 국내에서 AWS 기반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이번 애저 기반 리전 추가로 고객사들은 자사 환경에 적합한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성할 수 있게 됐다. 

최 지사장은 "파워 비즈니스 인텔리전스를 비롯한 애저 데이터레이크, 애저 AI 등 통합 환경에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MS와 기술 협력 범위도 커질 것"으로 기대했다. 

스노우플레이크는 데이터 클라우드 플랫폼 기업으로 기업들이 방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플랫폼을 운영한다.

기존의 온프레미스(사내 구축형) 데이터베이스와 달리 클라우드 환경에서 필요한 자원을 필요한 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특히, AI 모델이 발전하면서 대규모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인프라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스노우플레이크는 오픈AI의 챗GPT 모델뿐 아니라 앤트로픽, 딥시크, 메타 등 다양한 AI 모델과의 호환성을 제공한다.

기업들이 특정 AI 모델에 얽매이지 않고 가장 적합한 AI 모델을 골라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최 지사장은 AI 발전으로 데이터 아키텍처 분야와 데이터 상호 운용 분야에서 파괴적 혁신이 일어나고 있다며, 예로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오픈 테이블 형식으로 활용하는 방식을 들었다. 

그는 "앱으로 만든 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데이터, 다른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등 다양한 소스 데이터를 통합할 수 있는 오픈 테이블 형식이 점점 주목받고 있다"며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의 효과적인 결합이 비즈니스 가치를 높이는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