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EBN DB]
[출처=EBN DB]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한국을 포함한 주요 교역국에 25%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반도체 업계는 상호관세 미적용 대상으로 거론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후속 조치를 주시하고 있다.

백악관은 반도체, 의약품, 목재, 금괴 등 일부 품목을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밝혔지만 업계는 향후 품목별 관세 부과 가능성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반도체 가치사슬이 복잡한 만큼 미국 정부도 득실을 저울질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별도 입장을 내지 않았지만 내부적으로 대응책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 보조금 재협상을 시사한 점도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현재 건설 중인 테일러 파운드리 공장에 오는 2030년까지 370억달러 이상을 투자하기로 하고 미 상무부와 지난해 말 47억4500만달러의 직접 보조금 지급 계약을 체결했다.

SK하이닉스도 인디애나주 웨스트라피엣에 38억7000만달러를 투자해 AI 메모리용 어드밴스드 패키징 생산 기지를 건설하기로 하고 최대 4억5800만 달러의 직접 보조금을 받기로 한 상태다.

가전 업계는 멕시코가 관세 대상에서 제외된 데는 안도했다. 다만 주요 생산 기지인 베트남(46%)과 인도(26%)가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되면서 전략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삼성과 LG는 베트남과 인도에 다수의 생산법인을 두고 있으며 특히 삼성은 베트남에서 스마트폰 물량의 절반 이상을 생산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사실상 중국산 제품 우회수출 방지를 목표로 한 것이며 한국 기업에는 타격이 클 것으로 분석했다. 기업들은 관세 영향을 줄이기 위해 미국 현지 생산 강화, 생산지 유연화 전략 등을 검토 중이다.

전자부품 업계는 직접적인 영향은 적지만 장기적으로 제품 가격 인상과 수요 감소가 예상돼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업계는 미국 소비자에게까지 영향이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관세 정책의 실효성을 따져봐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