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
[출처=연합]

산업통상자원부가 첨단제조 인공지능(AI)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기술개발을 촉진하고 주력산업 제조현장의 혁신 가속화를 위해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주력산업IT융합)' 8개 신규 과제 공고를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신규 과제는 반도체 및 이차전지 제조공정 대상 AI 제조 기술, AI 소프트웨어를 내장한 지능형 기기 및 산업 전반에 활용 가능한 AI 제조시스템 기술개발을 중점 지원해, 컴퓨팅 환경이 한정된 제조현장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제고할 예정이다. 

8개 신규 과제에 올해 82억5000만원이 지원된다. 과제당 33개월 간 총 30억원 가량이 지원될 에정이다.  

신규 과제는 △EUV 마스크 결함 추론 및 분류를 위한 AI 기반 품질검사 기술 개발 및 실증 △PFAS 대체 소재 개발을 위한 AI 활용 물성/합성 분석 기술 개발 및 실증 △이차전지 분리막 내열성 향상을 위한 AI 기반 설계·구조 최적화 기술 및 전지 단락 방지용 첨가제 제조 기술 개발 △LFP 배터리 생산수율 확보를 위한 전극 제작·조립 공정 대상 AI 품질 진단 기술 개발 및 실증 등이다. 

이번 공고는 이날부터 오는 5월 7일까지 한 달간 공고한다. 온라인 접수처(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를 통해 신청서를 받는다. 

이 사업은 지난 2009년부터 사물인터넷(IoT), AI 등 기술 발전과 제조현장 내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확산 등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돼 왔다. 장비 이상 감지·모니터링 분야 기술 확보를 통해 품질 향상과 비용 절감에 기여하는 등 성과를 보이고 있다.

산업부는 "제조현장의 디지털 전환 확산과 국내 기업의 제조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공정 지능화 및 제품 첨단화 관련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을 지속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