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ebn]](https://cdn.ebn.co.kr/news/photo/202504/1658944_672610_5451.jpg)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다음 주 베트남,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등 동남아 3개국을 국빈 방문할 예정이라고 중국 외교부가 11일 밝혔다. 이번 순방은 14일부터 18일까지 진행된다.
시 주석은 14일부터 이틀간 베트남을 방문해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이후 15일부터 18일까지는 올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의장국인 말레이시아와 캄보디아를 방문해 각각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 훈 마넷 캄보디아 총리와 회담할 계획이다.
이번 순방은 시 주석의 올해 첫 해외 방문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 이후 미국과의 갈등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중국이 우방국과의 결속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미국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중국에 대한 누적 관세율이 145%에 달한다고 밝힌 가운데, 중국은 전날 84%의 대미 맞불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또 미국 여행 자제령, 미국 영화 수입 축소 등 비관세 조치를 쏟아내며 대미 연합 전선 구축을 위한 외교전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들 3개국은 최근 일대일로(一帶一路: 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트럼프 1기 행정부 이후 중국 공급망 다변화의 혜택을 받은 국가들로 평가된다.
특히 베트남은 아세안에서 중국의 가장 큰 무역 상대국이며, 캄보디아는 동남아시아의 대표적인 친중 국가로 알려져 있다. 화교 인구 비중이 높은 말레이시아는 미중 사이에서 중립 외교 노선을 유지하고 있다.
중국과의 깊은 경제적 연결고리 때문에 이들 3개국은 중국만큼은 아니지만 미국의 고관세 정책의 영향을 받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90일간 유예한 상호 관세는 캄보디아가 49%, 베트남이 46%, 말레이시아가 24%로 나타났다.
앞서 시 주석을 비롯한 중국 최고 지도부는 주변국들과의 운명 공동체 구축이라는 외교 방침을 재천명한 바 있다. 주변국과의 외교 문제를 다루는 '중앙주변공작회의'를 통해 전략적 상호 신뢰를 강화하고 공급망 협력을 확대한다는 주변국 외교 기조를 확정한 것이다.
시 주석은 이 자리에서 "주변국 운명 공동체 구축에 집중하고, 주변국 업무의 새로운 국면을 열어가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