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EBN AI 그래픽]](https://cdn.ebn.co.kr/news/photo/202504/1659245_672960_151.png)
미국 관세정책, 환율 변동성, 가계부채 등 한국 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이번주 진행되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의 기준금리 결정에 관심이 모아진다.
지난 2월 한은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기존 연 3.00%에서 2.75%로 0.25%포인트(p) 인하하면서, 2022년 10월(2.5%) 이후 2년 4개월 만에 2%대로 진입했다.
당시 금통위는 "경기 하방압력을 완화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며 기준금리 인하 이유를 설명했다.
이달 17일 열리는 한은 금통위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는 추가 금리 인하 또는 동결을 결정한다. 작년 10월, 11월 2회 연속 기준금리를 인하한 금통위는 '숨 고르기'를 내세우며 올해 1월 '동결'을 선택했다.
1월 기준금리 동결 이유에 대해 이창용 한은 총재는 "국내 금융·외환시장에서는 원·달러 환율이 크게 상승했고 변동성도 증대, 미 달러화 강세의 영향이 이어지는 가운데 국내 정치적 리스크 확대가 추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했다"며 "숨 고르기 하면서 정세를 보고 판단하는 것이 신중하고, 바람직하지 않나 판단했다"고 말했다.
작년 11월말 원·달러 환율은 1300원 후반대를 기록했으나, 12월 비상계엄령 사태 직후에는 1400원 후반대에 진입하며 '강달러' 양상을 보였다.
지난 4일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결정으로 원·달러 환율은 1430원대로 내려가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된 것으로 보였으나 외환시장에서는 미 관세정책이 급등락 요인으로 들썩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세계를 상대로 10% 기본관세, 상호관세 최대 50% 부과하기로 하면서 환율은 요동쳤고 미-중 관세리스크 등이 이어지면서 1500원 문턱에 바짝 다가서기도 했다.
지난 10일에는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를 결정함에 고환율 상황 속에서 달러화 약세가 보였다.
15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14일 원·달러 환율은 1424.1원을 기록, 전날보다 25.8원 하락하면서 계엄령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는 환율 진정세를 보이는 듯했지만,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의 말 한마디에 외환시장이 들썩이기에 환율 변동성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올해 3월 은행권 가계부채는 1145조원으로 전달대비 1조4000억원 늘었다.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2조2000억원 증가한 909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서울시가 강남 3구(서초구, 강남구, 송파구)에 대한 토지거래허가제를 올해 2월 해제했으나, 지난달 23일 재지정했다. 토허제 해제-재지정 사이 가계부채 변동 상황에 대해 금융당국은 주시하는 상황이다.
올해 3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연준이 금리를 동결한 상황에서 한은이 기준금리를 내린다면 한-미 금리차가 확대되고, 이로 인해 원화 가치 하락이 우려된다.
기준금리 인하는 주담대 등 가계대출이 늘어, 가계부채 증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 환율 불안, 가계부채 등 여러 요인으로 17일 열리는 금통위 회의에서는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4월 금융시장 브리프' 보고서를 통해 '한은은 국내경기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서울 주택가격 강세, 가계대출 증가세 등을 감안하여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현 수준(2.75%)에서 동결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최근 무역정책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경기 하방 요인이 증대했으나, 가계 부채와 고환율 등의 환경을 고려하면 그간의 금리 인하 효과 등을 점검하면서 동결로 대응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그는 "연초 토허제 해제 후 서울 강남 중심의 부동산 가격 상승과 가계부채 증가 등을 고려할 때 한은은 금리 인하 결정을 신중하게 할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안재균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4월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 2.75% 동결을 전망한다"며 " 4월 이후 높아진 환율 일간 변동성은 대외 금융시장 불확실성 증대에서 비롯된다. 서 무리한 금리 인하 추진보다 국내외 경제, 금융상황 변화를 확인하며 향후 통화정책 대응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