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뉴스]](https://cdn.ebn.co.kr/news/photo/202504/1660122_674021_2553.jpeg)
올해 2분기 가계, 중소기업 대출 문턱이 1분기보다 높아질 것으로 은행들은 전망했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에 따르면 2분기 은행의 대출태도 종합지수(-6)는 전 분기(7)보다 13포인트(p) 하락했다.
이번 조사에서 한은은 금융기관 대출태도, 대출수요, 신용위험에 대한 평가(크게 완화·증가-다소 완화·증가-변화 없음-다소 강화·감소-크게 강화·감소)를 가중 평균해 100과 -100 사이 지수로 산출했다. 지수가 양(+)이면 '완화(대출태도)' 또는 '증가(신용위험·대출수요)'라고 답한 금융기관 수가 '강화' 또는 '감소'보다 많은 상태고, 음(-)이면 반대다.
대출 주체별로 살펴보면 가계 일반대출(신용대출 등)과 주택대출(-8·-6)에서 1분기(8·14)와 비교해 뚜렷하게 태도 강화 전망이 늘었다.
중소기업 대출태도 지수 역시 -6으로 하락, 대기업(6)은 완화 우위 상태를 유지했다.
한은 관계자는 "가계대출의 경우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기조에 따른 금융권 자율 관리 등으로 대출태도가 다소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중소기업 대출태도도 대내외 경제 여건 불확실성 등에 따른 여신 건전성 관리 등에 따라 취약 업종을 중심으로 다소 강화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2분기 대출수요 종합지수(11)는 1분기(14)보다 3p 줄었다. 수요 증가 전망이 여전히 감소보다 많지만, 차이가 줄었다는 뜻이다.
가계 주택대출(6)과 일반대출(14)에서는 지수 변화가 없었다. 다만 기업의 경우 대기업(6→11), 중소기업(19→25)에서 모두 대출 수요 확대 전망이 증가했다.
가계의 대출 수요는 1분기 중 늘어난 주택 거래, 신용대출 금리 하락 등의 영향으로 늘었고 기업 대출 수요도 대내외 경제 여건의 불확실성에 대비한 운전자금 수요 등 때문에 불어날 가능성이 커졌다는 게 한은의 설이다.
국내 은행이 예상한 2분기 신용위험 종합지수는 20으로, 전 분기(15)보다 5p 높아졌다.
대기업(6→8), 가계(8→17)에서 신용위험이 커질 것이라는 관측이 증가했다. 중소기업(22)의 경우 지수에는 변화가 없지만 신용위험 확대 전망이 여전히 뚜렷하게 더 많았다.
저축은행 등 비은행 금융기관의 경우 이번 설문조사에서 대체로 2분기 대출태도 강화 기조가 이어지고, 신용위험은 계속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달 4~14일까지 203개 금융기관(국내은행 18·상호저축은행 26·신용카드 7·생명보험사 10·상호금융조합 142) 여신 총괄 책임자를 대상으로 이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