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미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여정연) 연구위원은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공동 토론회에서 "여성 고용률 제고와 저출생 대응에는 근로시간 형태의 다양화와 유연근무제 확대가 핵심 전략"이라고 밝혔다.[출처=김지성 기자]
정성미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여정연) 연구위원은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공동 토론회에서 "여성 고용률 제고와 저출생 대응에는 근로시간 형태의 다양화와 유연근무제 확대가 핵심 전략"이라고 밝혔다.[출처=김지성 기자]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고 여성 고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획일적인 근로 시간 제도 대신 다양하고 유연한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정성미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여정연) 연구위원은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공동 토론회에서 "여성 고용률 제고와 저출생 대응에는 근로시간 형태의 다양화와 유연근무제 확대가 핵심 전략"이라고 밝혔다.

정 연구위원은 유럽 주요국은 우리나라에 비해 다양한 형태의 근로시간 활용이 활발하며 유연성이 높은 제도 활용이 출산율과 여성 고용률로 이어지고 있다고 봤다.

또 구미영 여정연 여성고용연구본부장은 공공 민간, 대기업 중소기업 등 6개 사례를 조사한 결과 고용과 근무 조건이 열악했던 사업장에 노조가 설립되면서 단체교섭을 통해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사용이 활성화된 사례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