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감원장. [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4/1660502_674493_2651.jpg)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해 금융당국이 핵심 인물들의 자금 흐름을 분석한 자료 전부를 검찰에 넘기며 본격적인 형사 수사 단계로 접어들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4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열린 자본시장 관련 현안 브리핑에서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된 특정 인물들의 자금추적 자료 일체를 검찰에 이첩했다”고 밝혔다.
그는 “금융당국 차원에서는 이들이 자본시장법상 부정거래와 직접 연관됐다고 판단할 정도의 결정적인 증거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이첩 자료에는 삼부토건의 전환사채(CB) 취득·전환 관련 내용은 물론, 자회사 웰바이오텍과의 자금 흐름까지 포함돼 있다. 금감원은 이 자료를 통해 검찰이 고도의 수사 전문성과 독립된 시각으로 객관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증권선물위원회는 하루 전 정례회의에서 삼부토건의 전·현직 실질 사주 및 대표이사 등 약 10명을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이들은 해외 재건사업 관련 허위 MOU를 반복 체결하고 이를 과장 홍보해 주가를 인위적으로 부양한 뒤, 보유 주식을 매도해 수백억 원의 차익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이번 고발 대상자 중에는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의 주요 인물로 지목된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나 김건희 여사,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포함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복현 원장이 지목한 ‘특정 인물’은 사실상 이들 세 명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 원장은 “검찰 수사에서 모든 의혹이 철저히 규명되도록 금감원은 전폭적으로 협력할 것”이라며 “필요 시 추가 조사도 마다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검찰이 제3자적 관점에서 점검하는 것이 불가피하다”며 “개인적인 친분으로 인해 공정성 논란이 불거질 수 있는 상황에서, 수사의 중립성과 신뢰도를 위해 검찰 판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이번 사건에 통상적인 조사 대비 2배 이상의 자원을 투입해, BW·CB 취득부터 매도 과정까지 자금 흐름을 면밀히 추적했다. 또 거래량과 수익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계좌를 중심으로 수사 범위를 확장하며 광범위한 조사를 벌였다.
삼부토건은 2023년 5월 우크라이나 글로벌 재건 포럼 참석 이후 이른바 ‘우크라이나 재건주’로 분류되며 주가가 1000원대에서 7월 장중 5500원까지 급등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 시기에 이종호 전 대표가 단체 대화방에서 ‘삼부 내일 체크’란 메시지를 남긴 점과,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우크라이나 방문이 겹친다는 점을 들어 주가조작 가능성을 꾸준히 제기해왔다.
한국거래소가 이상거래 정황을 통보한 뒤 지난해 9월부터 금감원이 수사에 착수했으며, 이 전 대표가 사용한 200여 개의 본인 및 차명 계좌를 정밀 추적했다. 이 과정에서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실체 여부와 사전 정보 이용 가능성까지 조사 범위에 포함됐다.
끝으로 이 원장은 “수사가 어떤 결과로 귀결되든, 금융당국의 판단과 조치가 국민 신뢰를 저버리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