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출처=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가 정치테마주에 대한 과열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시장감시 및 불공정거래 조사를 강화한다.

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는 지난 13일 두 번째 실무회의를 개최하며, 정치테마주에 대한 모니터링 및 예방조치를 더욱 공고히 하기로 했다.

정치테마주는 특정 정치인과 관련된 주식으로, 정치적 이슈에 따라 주가가 급등락하는 특징이 있다.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는 정치테마주 60개 종목 중 3분의 2 이상이 고점 대비 30% 이상 하락한 상황을 주목하며, 이러한 급격한 변동성이 투자자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정치테마주에 투자한 개인투자자의 비중은 86.9%로 시장 전체 개인투자자 비중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테마주에 투자한 개인투자자의 매매차익을 분석한 결과 9일 기준 최근 1개월간 42종목에서 손실이 발생했다.

이에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는 실무회의를 통해 정치테마주 대응책을 논의하고, 정보 공유와 시장감시 역량을 집중하기로 합의했다. 금융감독원은 조사1국을 중심으로 제보 및 민원 모니터링, 이상 종목의 매매 양태 분석 및 조사를 수행하며,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는 주가 급등락과 이상 매매를 조기에 탐지해 사전적 예방조치를 강화할 예정이다.

특히, SNS나 증권 포털 사이트에서의 허위 풍문 생성·유포, 통정매매, 상한가 굳히기, 허수성 주문 등 비정상적 거래 행위를 집중적으로 감시한다. 거래소는 정치테마주에 대해 시장경보종목 지정, 조회공시 요구 등 예방조치를 통해 시장 교란 행위를 방지할 방침이다.

금융감독원은 정치테마주와 관련된 불공정거래 혐의가 포착되면 즉시 조사를 착수하고, 불법 행위를 차단할 계획이다. 또한, 풍문 생성과 배포, 허위 정보를 이용한 시장교란 행위에 대해서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엄격히 처벌할 방침이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정치테마주는 근거 없는 풍문에 따른 과열로 인해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볼 위험이 크다"며 "투자자들은 회사의 본질 가치와 주가 적정성을 꼼꼼히 따져 신중한 투자 판단을 내려야 한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풍문을 생성, 유포하는 행위만으로 불공정거래 행위에 해당해 과징금 등 부과대상이 될 수 있다"며 "정치테마주 관련 불공정 거래가 의심될 경우 금융감독원 및 한국거래소에 즉시 신고해달라"고 요청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