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한국거래소]
[출처= 한국거래소]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는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과열 양상을 보이는 이른바 ‘정치테마주’에 대해 투자유의 안내(Investor Alert)를 공식 발동했다.

이번 조치는 정치테마주가 실적이나 펀더멘털과 무관하게 주가 급등락을 반복하면서 투자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024년 12월부터 2025년 4월 18일까지 투자경고 이상으로 지정된 115개 종목 중 52%에 해당하는 60개 종목이 정치테마주로 분류됐다.

특히 4월 들어 지정된 37개 종목 가운데 78%에 해당하는 29개가 정치테마주로, 단기 과열이 심각한 수준이라는 분석이다.

작년 12월부터 정치테마주의 평균 주가 변동률은 무려 121.81%로, 코스피 평균 16.47%, 코스닥 평균 24.12%를 크게 웃돌았다. 하지만 실적은 초라하다. 유가증권시장 정치테마주의 평균 매출액 3317억원, 평균 영업이익 36억원이다. 코스닥 시장의 경우 각각 590억원과 5억원으로, 시장 평균의 10~20% 수준에 불과하다.

정치테마주는 대체로 특정 정치인과의 얕은 연결고리(출신학교·지역·친인척 관계 등)만으로 주가가 움직이는 경향이 크다. 하지만 해당 정치인의 지지율 변동, 여론조사 결과, 혹은 정치 뉴스에 따라 갑작스러운 주가 급락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거래소 관계자는 “정치테마주는 본질적 기업가치와 무관하게 단기간에 과열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한 피해는 온전히 투자자 몫”이라며 “실적과 재무상태, 시장환경 등 펀더멘털에 기반한 합리적 투자 판단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거래소는 대선 일정이 본격화되는 오는 6월까지 정치테마주에 대한 집중 모니터링을 지속할 방침이다. 동시에 리딩방, 증권게시판, 대량 문자(SMS) 등 사이버상 유포되는 근거 없는 풍문에 대해 투자자들에게 경각심을 가질 것을 당부했다.

한편, 거래소는 정치테마주 관련 불공정거래가 의심되는 행위에 대해서는 금융당국과 협력해 강력 대응할 계획이며, 시민들이 불공정거래신고센터를 통해 적극 신고해 줄 것을 요청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