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량 현황 [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5/1663720_678149_5134.png)
인공지능(AI) 시대 전력 수요 급증으로 전력망 적기 확충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른 가운데 전력망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2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AI 시대에 맞는 국가 전력망 확충 세미나'를 한국자원경제학회와 공동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최근 AI 등으로 전력 수요가 늘면서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가 증가하는 추세다.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려면 전력망을 적기에 확충해야 한다. 세계 각국 선진국들 역시 전력망 투자를 늘리고 있다.
미국은 전력망 규칙을 대폭 개정했다. 일본은 2050 국가그리드 마스터플랜을 발표하는 등 세계 각국은 전력망 투자를 늘리고 있다. 다만 우리나라는 주민 반대와 인허가 지연 등으로 주요 송전선로 31곳 중 26곳의 건설이 지연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발전소를 건설해놓고도 발전을 못 하는 전력이 동해안 지역은 최대 7기가와트(GW), 서해안 지역은 최대 3.2GW 규모다.
서철수 한국전력공사 전력계통부사장은 "6년간의 협의 끝에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 주변 79개 마을에 대한 주민 동의 절차를 100% 완료했으나, 아직도 일부 지자체에서 전력 설비 건설 인허가를 내주고 있지 않다"며 지자체 협력을 호소했다.
이운호 민간발전협회 부회장은 "전력망 부족으로 발전설비가 가동되지 못해 민간 발전사들이 연간 6천억∼7천억원씩 손실을 보고 있다"면서 "재무 상황이 악화하는 민간발전사들은 전력망에 생존이 걸린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전력망 적기 확충과 더불어 전력직접판매(PPA), 분산특구 등 전력망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대안도 작동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국자원경제학회장인 조홍종 단국대 교수는 "국가 전력망 확충은 이제 전력만의 문제가 아닌 국가 발전과 산업 경쟁력 문제"라며 "전력망 건설 지연으로 인한 사회적 손실 비용을 줄이고 강건한 전력망 구축으로 산업발 전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AI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