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출처=연합뉴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출처=연합뉴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정부효율부(DOGE)' 수장직에서 완전히 물러난다고 28일(현지시간) 밝혔다.

머스크 CEO는 이날 저녁 자신의 X(옛 트위터) 계정을 통해 "특별공무원으로서 내 임기가 끝난다"며 "낭비적인 지출을 줄일 기회를 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감사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DOGE의 임무는 정부를 관통하는 생활 방식이 되면서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AP통신과 로이터 통신 등 주요 외신들은 백악관 소식통을 인용해 머스크가 트럼프 행정부를 완전히 떠난다고 보도했다.

머스크의 이번 발표는 그가 트럼프 대통령이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이라고 칭한 감세 법안을 비판한 직후에 나왔다. 머스크는 전날 CBS 방송 인터뷰에서 해당 법안이 연방 재정적자를 심화시킬 것이라며 "재정적자를 키우는 대규모 지출 법안을 보게 돼 실망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하나의 법안이 크거나 아름다울 순 있지만, 둘 다는 될 수 없다"며 이 법안이 DOGE 팀의 연방 지출 감축 노력을 저해한다고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 과정에서 주요 지지자로 알려진 머스크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약 100일간 DOGE를 이끌며 연방 정부의 대규모 구조조정을 주도해왔다. 그는 특별공무원 신분으로 활동했으나, 해당 신분은 연 130일 이상 정부 업무를 할 수 없다는 규정이 있다.

워싱턴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 머스크는 DOGE 활동으로 인해 많은 반감을 산 것에 대한 억울함을 토로하기도 했다. 그는 "DOGE가 모든 것에 대해 매 맞는 소년(whipping boy, 희생양)이 되고 있다"며 "정부 관료주의 상황은 생각보다 훨씬 심각하다"고 어려움을 표했다.

보도에 따르면 머스크는 백악관 시절과 달리 '마가'(MAGA) 모자를 쓰지 않고 주류 언론에 대한 적대감도 누그러진 모습으로, 텍사스주 스페이스X 발사 기지로 돌아와 본업에 집중하고 있다.

머스크는 화성 탐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주요 목표는 화성이 돼야 한다"고 말했으나, 전날 시도된 스페이스X의 스타십 9번째 지구궤도 시험비행은 실패로 돌아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