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
[출처=연합]

올해 1∼4월 한국 경제는 내수와 생산 전반에서 침체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소비, 서비스, 건설 투자 등 내수 지표는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였고, 제조업 생산 증가율은 윤석열 정부 출범 직전 수준의 절반 이하로 주저앉았다.

1일 통계청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4월 소매판매액 불변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0.2% 감소했다. 내구재 판매는 승용차(11.7%) 호조로 3.5% 늘었으나, 의류(-4.7%) 등 준내구재와 식료품(-0.4%) 등 비내구재 소비는 부진했다. 소매판매는 2022년 2.1% 증가 후 2023년 -1.4%, 올해 -2.0%로 3년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다.

서비스업도 기세가 꺾였다. 같은 기간 서비스업 생산은 0.3% 증가에 그치며 2020년(-1.4%)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2022년(5.9%)과 2023년(5.4%)에는 상대적으로 견조했으나 올해 들어 둔화가 두드러진다.

건설경기는 사실상 침체 국면에 진입했다. 1∼4월 건설기성은 전년 동기 대비 21.0% 급감하며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97년 이후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건축(-22.8%), 토목(-15.2%) 모두 크게 위축됐다.

제조업 또한 성장 동력을 잃었다. 같은 기간 제조업 생산지수는 2.9% 증가에 머물렀다. 이는 2022년 1∼4월 6.1% 증가 대비 절반 이하 수준이다. 반도체 생산은 2022년 33.4% 증가에서 올해 17.3%로 축소됐고, 컴퓨터(-14.8%), 1차 금속(-6.5%) 등도 감소세로 돌아섰다. 일부 업종은 반등했으나 자동차(0.3%)와 통신장비(9.2%) 등으로는 전체 흐름을 바꾸기 어려웠다.

생산능력 대비 실적을 보여주는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올해 4월 73.8%로, 2022년 4월(76.3%)보다 하락했다. 제품 출하 지수는 전년 수준에 머물러 실질적 정체를 나타냈다.

내수와 생산의 이중 부진에 더해 미국발 통상 압력까지 가세하면서 한국 경제는 사실상 0%대 성장 국면에 접어들었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1.5%에서 0.8%로 하향 조정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