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M4 12단 샘플. [출처=SK하이닉스]
HBM4 12단 샘플. [출처=SK하이닉스]

SK하이닉스가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 선점에 힘입어 올해 1분기 글로벌 D램 시장에서 삼성전자를 제치고 1위에 올랐다.

4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올해 1분기 D램 시장에서 매출 97억2000만달러를 기록하며 점유율 36%로 선두를 차지했다. 이는 전 분기 매출보다는 7.1% 감소한 수치지만, 점유율은 36.6%에서 소폭 조정된 수준을 유지하며 1위로 올라섰다. 고부가가치 제품인 HBM3E의 출하량 비중 증가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삼성전자는 1분기 매출이 전 분기보다 19.1% 감소한 91억달러에 그치며 점유율 33.7%로 2위로 내려앉았다.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지난해 4분기 39.3%에서 비교적 큰 폭으로 하락했다. 트렌드포스는 삼성전자가 HBM을 중국에 직접 판매하지 못하고, 제품 재설계 이후 고가의 HBM3E 출하량이 감소한 점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2025년 1분기 글로벌 D램 시장 매출 순위. [출처=트렌드포스]
2025년 1분기 글로벌 D램 시장 매출 순위. [출처=트렌드포스]

D램 시장에서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앞지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불과 1년 전인 2024년 1분기만 해도 삼성전자가 43.9%, SK하이닉스가 31.1%로 10%포인트 이상 격차가 났다.

다른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의 집계에서도 올해 1분기 SK하이닉스(36%)가 삼성전자(34%)를 근소한 차이로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1분기 D램 시장 3위는 미국 마이크론으로, 매출 65억8000만달러, 점유율 24.3%를 기록했다.

트렌드포스는 "2분기에는 PC 및 스마트폰 업체들이 90일간의 미국 상호관세 유예기간에 맞춰 재고 조정을 완료하고 생산량을 늘려 D램 공급업체의 출하량이 두드러지게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