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MM 인수 본입찰을 준비 중인 하림그룹이 자금 부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연합
▶ HMM 인수 본입찰을 준비 중인 하림그룹이 자금 부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연합

HMM 육상노동조합이 최근 선거 과정에서 공론화된 본사 부산 이전 추진과 관련해 강력한 반대 입장을 공식 표명했다. 

4일 육상노조는 “본사 이전은 회사의 경영 효율성과 조직 안정성, 임직원의 삶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안”이라며 "상장사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훼손하는 정치 폭력은 즉시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기간 중 부산 유세 현장에서 해양수산부와 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인 HMM 부산 이전을 공약했다. 

이에 대해 HMM 육상노조는 “민간 기업의 본사를 대통령의 권한으로 강제로 이전하려는 시도는 민주주의 원칙을 위협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노조는 ▲경영 효율성 저하 ▲핵심 인력 이탈 ▲구성원 권익 침해 ▲국내외 신뢰 저하 및 글로벌 협력 약화 ▲법적 기준과의 충돌 ▲권력 남용 ▲공정사회 실현 저해 등을 반대 사유로 제시했다.

특히 수도권에 기반한 경영 활동의 전략적 이점과 서울 본사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해운 얼라이언스 협력 구조를 언급하며, "서울은 국내외 고객 및 해외 해운동맹과의 협업에 최적화된 환경”이라며 “고객사들의 위치, 우수 인력 유치, 인천공항과의 접근성 등을 고려할 때 부산으로의 이전은 효율성 저하가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또 노조는 본사 이전이 현실화될 경우 다수 임직원이 수도권에 정착해 있는 상황에서 인력 유출과 조직 불안정성이 불가피하다고도 지적했다.

아울러 정치 논리에 따른 본사 이전 추진이 “상장사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투자자 및 이해관계자 신뢰를 저하시키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해운 얼라이언스 협력 시, 서울 본사를 둔 현재 구조가 경쟁력 유지에 필수적이며, 부산 이전 시 협력체계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점도 우려를 표했다.

노조는 “북극항로 개척이나 해운 전략 강화는 굳이 본사 이전 없이도 협업 조직 구축 등을 통해 충분히 대응 가능하다”며 “현재도 부산 일선에는 필수 인력이 근무 중인 만큼, 보여주기식 이전은 납득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끝으로 노조는 "HMM은 국가 핵심 전략산업의 대표 상장사이자 글로벌 해운사로서, 공공성과 시장 신뢰를 동시에 고려해야 할 책임이 있다"며 "졸속 이전 추진 시 강력한 투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