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제공=연합뉴스]
틱톡. [제공=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TikTok)의 미국 사업권 매각 시한을 다시 한 번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원래 6월 19일이었던 마감 기한은 9월 중순까지 90일간 추가 유예된다. 취임 이후 세 번째 연장 조치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17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서비스가 중단되기를 원하지 않는다"며 "틱톡이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도록 이번 주 중 행정명령에 서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레빗 대변인은 연장 기간 동안 매각 계약이 성사되도록 행정부가 계속해서 협의를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G7 정상회의를 마친 뒤 캐나다에서 미국 워싱턴DC로 돌아오는 전용기 안에서 기자들에게 “틱톡 매각 시한을 아마도 또 연장할 것”이라고 밝히며,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매각 거래를 결국 승인할 것으로 본다고 언급했다.

틱톡 매각 문제는 바이든 전 대통령 재임 시절인 지난해 4월, 미국 의회가 ‘틱톡 금지법’을 통과시키며 본격화됐다. 해당 법안은 틱톡의 모회사인 중국 바이트댄스가 미국 이용자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여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에 따라, 틱톡 미국 사업부를 미국 기업에 매각하도록 강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매각이 불발될 경우 틱톡은 미국 내 서비스가 중단된다.

바이트댄스는 해당 법의 시행을 막기 위해 각종 소송과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지만 모두 기각됐다. 당초 매각 기한은 2025년 1월 19일이었고, 틱톡은 일시적으로 미국 내 서비스 중단 사태를 겪기도 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직후인 1월 20일, 행정명령을 통해 시한을 75일 연장하면서 일단 유예됐다.

이후 4월 초, 트럼프는 시한이 다시 임박하자 두 번째로 75일간 매각 기한을 추가 연장했으며, 이번 결정은 세 번째 연장 조치다. 당시 틱톡의 미국 지분을 미국 투자자 중심의 새로운 법인에 넘기는 방안이 협상 말미까지 진전됐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에 중국이 강하게 반발하며 거래는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안은 미국 측이 과반 지분을 확보하고, 바이트댄스가 20% 미만을 보유하는 구조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의 서비스 지속 자체에는 반대하지 않는 입장을 거듭 밝히고 있으며, 매각을 통해 미국 내 독립적 사업 구조를 갖추는 방식으로 안보 우려를 해소하려는 입장이다. 연장된 90일의 유예 기간 동안 거래가 다시 추진될 수 있을지, 업계와 외교 관계자들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