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자이 파크팰리체 투시도[출처=GS건설 ]
양산자이 파크팰리체 투시도[출처=GS건설 ]

한동안 소형 주거 위주로 재편되던 아파트 시장에서 중대형 평형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나고 있다. 1~2인 가구 증가, 도시 밀도 고도화 등으로 소형 아파트가 대세로 자리 잡았지만, 중대형 아파트는 여전히 시장에서 존재감을 지켜왔고, 최근 들어 다시 강세를 보이고 있다.

19일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20202024년) 전국에 공급된 아파트 98만4,360가구 중 전용면적 85㎡ 초과 물량은 11.4%에 불과하다. 나머지 대부분은 6085㎡(68.7%) 또는 60㎡ 이하(20.2%)의 중소형, 소형으로 채워졌다.

이처럼 공급이 적은 만큼 가격도 뚜렷하게 올랐다. 전국 중대형 아파트의 3.3㎡당 평균 매매가는 2020년 1,951만 원에서 2024년 2,328만 원으로 약 19.3% 상승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아파트 평균 상승률(9.5%)은 물론 소형(7.7%)·중소형(5.9%)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다.

실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중대형 아파트의 매매 거래 비중은 2022년 7.7%에서 2023년 10.3%, 2024년 들어서는 10.8%까지 늘었다. 청약시장에서도 경쟁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 ‘디에이치 대치 에델루이’ 전용 94㎡는 1순위 청약에서 무려 511대 1을 기록했으며, 과천 ‘프레스티지자이’ 99㎡는 206.5대 1, 인천 송도의 ‘래미안 송도역 센트리폴’ 101㎡는 51.29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지방에서도 중대형에 대한 선호는 뚜렷하다. 전주 ‘에코시티 더샵 4차’ 전용 110㎡는 970대 1이라는 수치를 기록했다.

이 같은 흐름은 단순히 ‘넓은 면적’만으로 설명되지는 않는다. 일정 수준 이상의 소득 계층이 중대형 아파트를 선호하면서, 해당 단지가 지역의 랜드마크로 자리 잡는 경우가 많다. 용인의 ‘성복역 롯데캐슬 골드타운’이나 ‘한빛마을 래미안 이스트팰리스’, 판교의 ‘푸르지오그랑블’과 ‘알파리움’ 등은 모두 중대형 중심의 단지로 지역 내 위상도 높다.

특히 중대형 중에서도 펜트하우스는 독보적인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서울 서초구 ‘래미안 원베일리’ 전용 234㎡는 올해 초 165억 원에 거래됐고, ‘아크로리버파크’ 같은 단지는 10년 새 5배 가까이 시세가 상승한 사례도 있다.

이런 배경 속에서 분양 예정인 중대형 단지들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GS건설은 경남 양산시 평산동에서 ‘양산자이 파크팰리체’를 공급할 예정이다. 전용 84·120·168㎡의 중대형 위주로 구성된 842가구 규모 대단지다. 동양산 지역에서 전용 85㎡ 초과 평형은 최근 10년간 1.3%에 불과했던 만큼 희소성이 부각된다. 이마트 트레이더스, 평산초 등 생활 인프라도 단지 주변에 잘 갖춰져 있다.

같은 GS건설은 충남 아산시 탕정면에 ‘아산탕정자이 센트럴시티’를 선보일 예정이다. 전용 59~125㎡, 1,238가구 규모로, 아산신도시와 불당지구를 연결하는 요충지에 위치한다.

효성중공업도 중대형 단지 공급에 나선다. 경기도 광주시 역동에 ‘해링턴 스퀘어 리버파크’를, 김포시 풍무동에서는 ‘해링턴 플레이스 풍무’를 각각 6월 중 분양할 계획이다. 광주 역동 단지는 최고 39층, 총 890가구 규모이며, 풍무동 단지는 전용 84㎡ 이상이 전체 물량의 절반 이상이다.

SM스틸과 삼라가 추진하는 ‘클러스터용인 경남아너스빌’(전용 84·123㎡, 997세대)과, 코오롱글로벌이 7월 선보이는 ‘대전 하늘채 루시에르’(전용 84~119㎡, 998세대)도 모두 중대형 위주의 단지로, 수요자 관심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밖에도 군포 대야미역 인근의 ‘금강펜테리움 레이크포레’, 서울 영등포의 ‘리버센트 푸르지오 위브’ 등도 중대형 평면 비중이 높은 단지로 꼽힌다.

업계 관계자는 “중대형 아파트는 면적뿐 아니라 브랜드, 커뮤니티, 조망, 생활 인프라 등 고급 주거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지역 대표 단지’로 자리 잡는 경우가 많다”며 “공급이 적고 진입장벽이 높은 만큼 장기적으로도 희소가치가 높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중대형 평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