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오와주 구글 데이터센터 [출처=연합]
아이오와주 구글 데이터센터 [출처=연합]

인공지능(AI)이 국가 간 새로운 ‘디지털 격차’를 초래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AI 개발 경쟁이 가속화되면서 세계는 고성능 AI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컴퓨팅 파워를 보유한 국가와 그렇지 않은 국가로 나뉘고 있다. 이로 인해 국제 정치와 세계 경제 질서에까지 영향이 미치면서 국가 간 새로운 의존 구조를 만들고 있다는 분석이다.

옥스퍼드대학교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 AI 데이터센터의 절반 이상이 미국, 중국, 유럽연합(EU)에 집중돼 있다. AI 전용 대규모 컴퓨팅 시설을 갖춘 국가는 32개국(전체의 약 16%)에 불과하다. 나머지 150여 개 국가는 관련 인프라가 전무하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26곳으로 가장 많다. 중국이 22곳, EU는 28곳을 보유하고 있다. 나머지 유럽 지역을 포함하면 유럽 전체는 36곳에 달한다.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도 인도(5곳), 일본(4곳)을 포함해 총 25개의 데이터센터를 운영 중이다.

이런 데이터센터는 미국과 중국의 국경을 넘어 해외에도 설치되고 있다.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등 미국 IT 기업들은 전 세계 AI 컴퓨팅 허브의 약 3분의 2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아프리카와 남미 등 일부 지역에 AI 컴퓨팅 인프라가 전무한 것과 대조된다.

이처럼 AI 데이터센터가 일부 국가에 집중되는 이유는 이메일이나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용 데이터센터보다 AI 데이터센터는 규모가 훨씬 크고 전력 소모도 막대하며, 건설에 수십억 달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필수 부품인 엔비디아 AI 칩은 가격이 높고 공급도 제한적이며, 대규모 전력 공급, 냉각 시설, 숙련된 인력 등 고도의 인프라가 필요하다.

NYT는 “미국과 중국 같은 기술 강국은 AI를 활용해 데이터 분석부터 자동화, 신약 개발, 첨단 무기 개발까지 진행하고 있지만, 충분한 컴퓨팅 자원을 확보하지 못한 국가는 과학 연구는 물론 스타트업 육성과 인재 유지에도 제약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옥스퍼드대 빌리 레돈비르타 교수는 “AI 시대의 석유는 컴퓨팅 능력이며, 이를 가진 나라가 미래 패권을 쥘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NYT는 AI 컴퓨팅 자원의 불균등한 분포가 세계를 미국 의존 국가와 중국 의존 국가로 양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미국과 중국은 자국 외에도 각각 63개와 19개의 AI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미국 IT 기업들은 전 세계 AI 데이터센터의 90% 이상을 관리하고 있다.

이로 인해 유럽 내부에서도 데이터센터가 미국 기업에 지나치게 종속돼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EU는 지난 2월 27개 회원국 전역에 걸친 새로운 AI 프로젝트와 데이터센터 건설에 총 2천억 유로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인도, 브라질, 아프리카연합 등도 ‘주권 AI’를 실현하기 위해 자체 데이터센터 건설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NYT는 AI 격차를 해소하려는 국가들도 결국 미국이나 중국의 기술·인프라 지원 없이는 한계에 부딪힐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