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한국예탁결제원]
[출처=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예탁결제원이 토큰증권 법제화에 대비한 핵심 시스템을 공식 가동했다. 한국예탁결제원은 25일 ‘토큰증권 Test-bed 플랫폼’을 성공적으로 오픈했다고 밝혔다.

이 플랫폼은 향후 토큰증권 제도 도입을 뒷받침할 핵심 기반으로, 분산원장을 활용한 거래관리와 투자자 보호 기능을 실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토큰증권은 전자증권법 및 자본시장법 개정안에 따라 전자증권의 일종으로 수용된다. 분산원장이 전자등록계좌부로 인정되며, 예탁결제원은 전자등록기관으로서 발행·유통 총량을 상시 관리하는 중추적 역할을 맡는다. 특히 거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해 발행 총량과 유통 총량의 일치를 유지함으로써 투자자 보호를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위해 예탁결제원은 지난해 10월부터 8개월간 ‘토큰증권 Test-bed 플랫폼 구축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번에 공개된 Test-bed 플랫폼은 총량관리시스템, 노드관리시스템, 분산원장시스템 등 3가지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총량관리시스템은 토큰증권의 발행심사와 총량관리, 검증, 자기계좌부의 분산원장 기재 등을 담당한다. 노드관리시스템은 다양한 분산원장 기술을 지원하고 업무 및 데이터 연계를 위한 통합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분산원장시스템은 외부 분산원장과의 직접 연계를 통해 트랜잭션 생성 및 블록정보 수신 등을 담당한다.

특히 이번 플랫폼 구축에서 주목할 부분은 예탁결제원이 시장의 모든 분산원장에 직접 노드로 참여하는 방식을 채택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전자등록기관으로서 총량관리의 실효성을 한층 높이고, 실시간 데이터 수집과 기재 처리가 가능해졌다.

예탁결제원은 플랫폼 실증을 위해 증권사와 조각투자사업자 등 8개 기관을 선정해 총 2회에 걸쳐 외부 분산원장과의 연계 테스트를 완료했다. 테스트 결과 플랫폼의 주요 기능과 연계 체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확인됐다.

향후 예탁결제원은 관련 법안의 국회 통과 및 시행 시기에 맞춰 Test-bed 플랫폼을 보완해 운영환경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아울러 하위 규정을 정비해 토큰증권 제도 도입을 차질없이 준비하고, 분산원장과 Test-bed 플랫폼 간 연계 테스트를 상시 지원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전자등록기관과의 업무 및 시스템 연계 표준을 수립·공표해 시장참여 기관의 혼선을 최소화하고, 토큰증권 시장 활성화를 적극적으로 뒷받침할 계획이다.

이번 플랫폼 오픈은 향후 토큰증권 제도의 본격 시행을 앞두고 시장의 기술적 준비와 제도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중대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