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울산공장 수출선적부두 [출처=현대자동차]](https://cdn.ebn.co.kr/news/photo/202506/1668241_683440_544.jpg)
완성차 업계가 올해 진통이 예상된다. 부정적인 경영 전망을 내놨음에도 노조가 강도 높은 '임단협(임금 및 단체협상)' 요구안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특히 통상임금 포함, 주 4.5일제도 시행 등에 사측의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26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기아 등 주요 기업 노사는 2025년 임단협에 본격 돌입했다.
현대차 노조는 지난 18일 상견례 후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호봉 승급분 제외) ▲전년도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통상임금에 각종 수당 포함 ▲직군·직무별 수당 인상 또는 신설 등을 요구했다.
또한 ▲주 4.5일 근무제 도입 ▲정년 60→64세 연장 등도 요구안에 포함시켰다. 지난해에 이어 또다시 주 4.5일제 등을 언급한 것이다.
사측은 2차 교섭에서 경영설명회를 열고, 트럼프 행정부발 관세 정책 및 중동 정세 상황으로 2025년 전망을 부정적으로 예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면서 "현대차 미래 성장을 위해 노사가 머리를 맞대고 슬기롭게 헤쳐 나갔으면 한다"며 어려움을 에둘러 표현했다.
노조는 올해 요구안이 대내외적 환경을 반영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특히, 불확실한 경영환경 대응방안이 '생산 유연성, 탄력적 라인 운영'이 돼선 안 된다며 강도 높은 협상을 예고했다.
현대차는 올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 영향으로 현지 생산 및 대응 전략을 꾸리고 있다. 이에 전기차 생산 라인이 여러 번 가동을 일시 중단한 바 있다. 노조는 이같은 사측의 대응에 불만을 가진 것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현지 생산 대응 체제가 당분간 유지해야 한다는 점이다. 트럼프 정부의 자동차 관세 25%가 유지되면 현대차의 영업이익은 연간 6조2600억원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실적 감소는 향후 임단협에서 임금 감소 등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노조가 사실상 모순된 요구를 하고 있다고 꼬집는다.
게다가 주 4.5일제, 정년연장 등 제도를 한꺼번에 도입하는 것 역시 무리수라고 비판한다. 중동 정세까지 겹치면서 또다시 경기침체 우려가 커진 만큼, 노사가 현실적인 협상을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기아 노사 역시 곧 임단협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노조는 특별 노사협의에서 수당 현실화, 보상 강화 제도 보완을 요구했다. 또한, 명절보조금, 하계 휴가비, 통상제수당까지 통상임금으로 적용하라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대법원은 고정성 여부와 상관없이 명절 보조금, 하계 휴가비, 통상제수당이 모두 통상임금에 포함된다고 판결했다. 기아 노조는 "법리적인 논쟁으로 시간을 끌 생각도, 사측의 꼼수 타협을 받아들일 의사도 전혀 없다"며 "단 하나의 타협도 절대 없다"고 했다. 해당 안건은 향후 임단협에서 핵심 쟁점이 될 전망이다.
정년연장도 요구안에 포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외에도 ▲특별성과급 2000만원 이상 지급 ▲차량 할인 원상복구 등 안건을 요구안에 포함할지 논의하고 있다.
매각설이 끊임없이 언급되는 한국GM은 노조가 이미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열어 파업권 확보에 돌입했다. 현재 한국GM 직영 정비서비스센터 매각, 부평공장 유휴부지 매각 반대 전 조합원 서명운동에 돌입했으며, 향후 파업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완성차 기업의 부담은 가중될 전망이다.
완성차 업계 관게자는 "파업 영향을 최소화하며 공장 가동률을 끌어올리는 게 기업 입장에서도, 노조 입장에서도 이득"이라며 "미래를 위해서라도 파업 등 카드는 쓰지 않고 노사가 합리적인 협상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