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정판 거래 플랫폼 크림(KREAM)이 지난 27일 서울 강남 조선팰리스에서 열린 특허청 주최 ‘2025 위조상품 유통 방지 기술 컨퍼런스’에 참가해 자사의 고도화된 위조상품 대응 기술력을 선보였다. [출처=크림]
한정판 거래 플랫폼 크림(KREAM)이 지난 27일 서울 강남 조선팰리스에서 열린 특허청 주최 ‘2025 위조상품 유통 방지 기술 컨퍼런스’에 참가해 자사의 고도화된 위조상품 대응 기술력을 선보였다. [출처=크림]

한정판 거래 플랫폼 크림(KREAM)이 지난 27일 서울 강남 조선팰리스에서 열린 특허청 주최 ‘2025 위조상품 유통 방지 기술 컨퍼런스’에 참가해 자사의 고도화된 위조상품 대응 기술력을 선보였다.

최근 몇 년간 리셀 플랫폼을 비롯한 개인 간 거래(P2P) 시장에서 위조품, 모조품, 일명 '가품'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특히 인기 브랜드의 한정판 스니커즈나 고가의 스트리트웨어, 명품 테크 제품을 중심으로 정가품 식별이 어려운 고정밀 위조품이 유통되며 소비자 피해 사례가 급증하는 추세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KREAM과 같은 플랫폼의 위조상품 대응 기술력은 단순히 서비스 신뢰도를 높이는 수준을 넘어, 온라인 중고 거래 시장 전반의 신뢰 인프라를 구축하는 핵심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30일 크림에 따르면 이번 행사는 위조상품 유통 방지를 위한 기술적 대응책에 대한 사회적 이해를 높이고, 기술 보유 기업과 수요 기업 간 교류를 확대하기 위해 특허청이 주관했다. 미국 국토안보수사국(HSI), 한국조폐공사, 크림 등 주요 기관 및 민간 기업들이 참여했으며, 위조상품 유통 방지 정책, 수사 사례, 대응 기술 등의 발표가 이어졌다.

크림은 이날 ‘위·변조 방지기술 도입 효과 공유’ 세션을 맡아 자사 검수본부장 권태현 이사의 발표를 통해 정가품 감정 시스템 구축 사례를 공개했다. 발표에서는 크림 검수센터에서 실제로 진행되는 상품 검수 절차와 적용 중인 첨단 장비들이 상세히 소개되며 현장 참가자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크림은 위조상품으로 인한 개인 간 거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체계적인 검수 시스템을 구축해왔다. 특히 서울 송파구에 약 3000평 규모의 첨단 자동화 물류 설비를 갖춘 검수센터를 운영 중이며, 해당 센터는 물류 유닛과 전문 검수 유닛으로 구성돼 신속하고 정밀한 진위 판별 및 물류 처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디지털 기술의 도입도 주목할 만하다. 크림은 자체 개발한 검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품별 검수 항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작업 결과와 이미지를 체계적으로 기록·관리한다. 이 시스템은 검수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크게 높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여기에 더해, 스마트 3D CT, 전자 현미경, UV 조명 등 고해상도 정밀 장비를 활용해 상품을 훼손하지 않고 내부 구조 및 미세한 요소(로고, 폰트 등)를 세밀히 검수할 수 있는 기술도 적용 중이다.

일부 거래 플랫폼에서는 여전히 단순 육안 검수나 사용자 신고에 의존하고 있어, 교묘하게 제작된 가품이 검수 과정을 통과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에 비해 KREAM의 기술 기반 정밀 검수 시스템은 위조 탐지의 정확도를 비약적으로 높였으며, 플랫폼 유통 품질 관리의 모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소비자 보호 차원에서도 정품 보증 서비스를 통해 피해 보상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거래 당사자 간 신뢰를 강화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갈 수 있다.

이러한 검수 체계는 실제 위조상품 적발 통계로도 그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크림은 2020년 대비 2021년에 가품 적발 건수가 591% 증가했으며, 이후에도 2022년 155%, 2023년 38%, 2024년에는 146% 증가하는 등 지속적인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권태현 크림 검수본부장은 “크림은 개인 간 거래를 중개하는 플랫폼으로서, 위조상품으로 인한 소비자의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목표 하에 신발, 의류, 테크, 프리미엄까지 카테고리에 제한 없는 검수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도 편리하고 안전한 개인 간 거래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전문 인력 육성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AI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해 검수 시스템을 보강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