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출처=연합뉴스]
서울 아파트.[출처=연합뉴스]

서울 아파트값이 2주 연속 상승폭을 줄이며 단기 진정세에 들어섰다. 지난달 말부터 시행된 대출 규제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공급 확충과 시장 안정 장치 없이는 집값 반등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경고한다.

1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6월 4주 0.43%에서 7월 1주 0.29%로 둔화됐다. 지난 6월 27일 정부가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고, 실수요 외 대출을 차단하는 강도 높은 규제를 시행한 것이 직접적인 배경이다. 특히 고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뚜렷하게 위축된 모습이다.

이 같은 흐름에 시장에서는 단기적으로 과열 국면이 진정됐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다만 뚜렷한 공급 확대 신호가 없고 규제 피로감이 누적된 상황이기에, 잠재된 집값 불씨는 여전히 살아 있다는 게 일부 전문가들의 공통된 분석이다.

금리 또한 주요 변수로 지목된다. 한국은행은 전날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 직후 "금리 조정은 경기와 금융안정, 대외 불확실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신중히 접근하겠다"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이를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둔 발언으로 해석하고 있다.

실제 하반기 금리 인하가 현실화될 경우, 대출 규제의 실효성은 일부 희석되며 매수심리가 다시 살아날 가능성도 있다. 

전문가들은 특히 강남·서초·송파 등 이른바 '강남 3구'를 중심으로 매물 잠김 현상이 심화되고 있어, 시장 반등의 기폭제가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일부 인기 단지에선 가격 조정이 크지 않은 상황에서도 매수 문의가 다시 늘고 있다는게 업계 후문이다.

최근 서울시가 발표한 재건축 규제 완화, 역세권 고밀 개발 정책 등도 중장기적으로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당장의 입주 물량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갑작스러운 대출 규제 발표로 시장이 일시적인 관망세에 접어든 것일 뿐, 중장기적으로는 매물 부족에 따른 가격 재반등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금리 인하와 전세시장 안정, 공급 부족 등 여러 요인이 맞물릴 경우 매수세가 언제든지 되살아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시장의 심리는 정부 정책보다 앞서 움직인다"며 "일시적 규제보다는 중장기적 공급 비전과 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 선제적 정책 대응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