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 [출처=연합]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 [출처=연합]

손정의(손 마사요시)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그룹이 산하 주요 계열사에 인공지능(AI) 활용을 전면 의무화하면서 ‘AI 퍼스트’ 조직문화 구축에 나섰다. 이는 일본 내에서도 드문 조치로 전통적인 업무 방식을 탈피하고 글로벌 디지털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12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소프트뱅크 산하 포털업체 라인야후(LINE Yahoo)와 통신사 소프트뱅크(SoftBank)는 전 직원이 업무에 AI를 적극 활용하도록 하는 의무 규정을 조만간 도입할 방침이다.라인야후는 시장 분석, 회의록 작성 등 일상적인 사무 업무에 AI 사용을 의무화하고 사내 AI 활용 사례와 데이터 기반 업무 프로세스 혁신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모회사인 소프트뱅크는 전 직원이 AI 앱 개발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하도록 의무화함으로써, 현업 부서 중심의 실전형 AI 실습을 병행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통해 단순 AI 도입을 넘어 ‘AI 활용 역량 내재화’를 조직 전체에 확산시키겠다는 의도다.

또 다른 주요 계열사인 간편결제 서비스 ‘페이페이(PayPay)’도 이미 인사·노무 분야의 AI 기반 업무 구조 재검토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내 AI 활용률은 아직 낮은 수준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 직장에서 생성형 AI 활용률은 2023년 기준 32%로 세계 평균 75%에 크게 못 미친다”는 조사 결과를 인용하면서 이번 조치가 일본 기업들 사이에서도 드문 선도적 행보라고 평가했다.

손정의 회장은 그간 AI를 중심으로 한 ‘정보 혁명’을 수차례 강조해왔으며, 최근에는 AI 에이전트 생태계 확산을 주요 미래 성장동력으로 지목한 바 있다.

이번 AI 활용 의무화는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일본식 보수적 조직문화에 변화를 촉진하고 글로벌 디지털 흐름에 빠르게 편승하려는 ‘내부 혁신 선언’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