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희 삼성 준감위원장. [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7/1671587_687412_5420.jpg)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와 공격적 경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23일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열린 3기 준감위 정례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재판에 대한 굴레에서 벗어나서 죽기를 각오하는 공격적 경영을 해야만 국제 사회에서 삼성이 발전하고 삼성에 의존하는 국민 경제가 함께 발전할 기회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책임경영이라는 측면에서 등기이사로 복귀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많은 위원이 공감하고 있다"며 "개인적으로는 등기 임원의 조속한 복귀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시기, 방식 등 회사의 경영적인 판단이 필요하다고도 언급했다.
이 회장은 4대 그룹 총수 중 유일하게 미등기임원이다. 등기임원은 미등기임원과 달리 이사회 구성원으로서 기업 경영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진다.
재계 안팎에서는 이 회장의 사법 리스크가 해소되면서 삼성 그룹 차원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삼성 컨트롤타워 부활 논의가 속도를 낼 것으로 본다.
이 위원장은 "삼성이라는 큰 기업이 국민 경제에 차지하는 위치와 국가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위원회 내부에서 통일된 의견을 내지 못할 정도로 어려운 사안"이라고 밝혔다.
또 "500만명이 훨씬 넘는 국민이 삼성전자의 주주이고 삼성그룹 전체와 국민의 관계가 연결돼 있다"며 "이제는 삼성이 하나의 기업이 아니라 국민 경제를 책임지는 기업으로써 기업가적인 책임을 강조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이어 "간담회 등의 형식을 빌려서 이 회장에게 의견을 공식적으로 전달하는 기회를 갖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