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회사 이미지 합성]](https://cdn.ebn.co.kr/news/photo/202507/1671728_687568_4419.jpeg)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및 '회계부정' 혐의에 대해 대법원에서 무죄를 확정받은 가운데, 삼성전자 '등기이사 복귀' 요구에 힘이 실리고 있다.
삼성 준법감시위원회도 최근 이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와 그룹 컨트롤타워 재건 필요성을 공식적으로 언급하며 힘을 보탰다. 다만 이 회장은 판결 이후 침묵을 유지하고 있으며, 삼성 내부에선 여전히 '사법 족쇄가 완전히 풀린 것은 아니다'라는 분위기가 감돈다.
24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그룹 안팎에서는 그룹 전략기능과 거버넌스 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이어지고 있다.
반도체 부진·중국의 거센 추격·미국의 규제 압박 등 구조적 위기 속 총수가 이사회에 참여해 책임 경영을 실천해야 한다는 요구가 힘을 얻는 모양새다.
국내 4대 그룹 총수 중 미등기 임원은 이 회장이 유일하다. 이 회장은 2019년 10월 등기이사 임기가 만료된 이후 5년9개월째 미등기 임원으로 삼성전자 경영을 총괄하고 있다.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 위원장은 "등기이사로 복귀하려면 상법상 주주총회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시기와 방식 등은 회사의 경영 판단에 따라야 한다"며 "그러나 원칙적으로는 총수가 이사회에 책임을 지는 구조로 가야 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준감위는 이 회장의 미등기 상태가 책임경영의 원칙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지속 밝혀왔다. 특히 이 회장이 사법 리스크에서 벗어난 만큼, 그룹 차원의 중장기 전략 수립과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삼성 컨트롤타워 복원이 조만간 논의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 위원장은 "삼성은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한 기업이며, 컨트롤타워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삼성전자의 주주는 500만 명이 넘고, 삼성은 이제 단순한 사기업이 아닌 공적 책임을 지는 국민기업"이라며 "총수의 기업가적 책임도 커진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지난 2월 이 회장이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을 당시, 이 위원장이 "많은 이들이 이 회장이 직접 나서길 바란다"고 언급했던 연장선에 있다.
하지만 이 회장은 지난 17일 대법원 무죄 판결 이후 공개적인 경영 행보 등 대외활동을 자제하며 신중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는 2심 무죄 판결 직후 샘 올트먼 오픈AI CEO,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과의 회동과 중국·일본 출장을 단행했던 지난 2월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재계 안팎에서는 이 회장이 향후 준감위와 다시 회동할지에도 촉각을 세우고 있다.
양측은 지난해 말 약 2년 1개월 만에 회동을 갖고 준법경영 방향성을 논의한 바 있다. 이 위원장은 평소 "이 회장을 따로 만나지 않더라도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어, 비공식 채널을 통한 교감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삼성 내부에서는 여전히 "사법 족쇄가 완전히 풀린 것은 아니다"라는 신중한 기류도 감지된다. 현재 공정거래법(일감 몰아주기) 위반 혐의로 기소된 최지성 전 삼성 미래전략실장(부회장)과 삼성전자 법인 등에 대한 1심 재판이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최 전 실장 등의 재판은 2023년 10월 첫 공판 이후 2년 가까이 이어지고 있다. 21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것까지 19차례 재판이 있었는데, 판결은 언제 날지 미정이다. 여기에 국민연금공단이 이재용 회장 등을 상대로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에 따른 피해를 보상하라는 취지의 손해배상 소송도 남아 있는 상태다.
재계 관계자는 "이 같은 복합적인 요인 속에서 이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와 삼성 컨트롤타워 부활 여부는 당분간 재계와 시장의 주요 관심사로 이어질 전망"이라며 "이 회장이 언제, 어떤 방식으로 책임경영의 전면에 나설지가 삼성의 향후 방향성을 가를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