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연합]
[로이터=연합]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강력한 대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 조치에 구멍이 뚫려 있다는 정황이 드러나고 있다. 중국으로의 수출이 금지된 엔비디아의 최첨단 인공지능(AI) 칩이 최근 3개월간 최소 10억달러(약 1조4000억원)어치나 밀반입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렇게 불법 유통된 칩을 전문적으로 수리하는 신흥 산업까지 성업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4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지난 5월부터 중국의 여러 유통업체가 판매 금지된 엔비디아의 최신 AI 칩 'B200'을 암시장을 통해 대량으로 유통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미국이 중국 판매용 저사양 칩인 'H20'마저 수출을 규제한 직후부터 벌어진 일이다. B200뿐만 아니라 기존의 고성능 칩인 H100, H200 등도 암시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동남아시아가 중국 기업들의 불법적인 칩 확보 경로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미 상무부는 오는 9월부터 태국 등 일부 동남아 국가를 대상으로 고급 AI 제품에 대한 추가 수출 규제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엔비디아 측은 "밀반입된 칩으로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며 공식 인증 제품에 대해서만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러한 대규모 밀수 정황은 중국 내 'AI 칩 수리 산업'의 급성장을 통해 더욱 명확해진다. 로이터 통신은 '중국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선전시를 중심으로 10여개의 소규모 업체들이 엔비디아의 H100, A100 등 고성능 칩 수리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며 성업 중이라고 보도했다.

밀수된 칩들은 중국 내 데이터센터에서 24시간 가동되며 데이터를 처리한 결과 고장률이 높아져 최근 수리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한 업체는 수리 난이도에 따라 GPU 하나당 1만~2만위안(약 190만~380만원)을 받고 한 달에 최대 200개를 수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소프트웨어 테스트부터 회로기판 및 메모리 결함 수리, 부품 교체까지 광범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로이터는 "지난해 말부터 수리 산업이 급성장한 것은 상당량의 엔비디아 칩이 중국으로 밀수됐다는 관측을 뒷받침한다"고 분석했다. 또한 입찰 자료를 인용해 중국 정부와 군 기관까지 금수 품목인 엔비디아 AI 칩을 구매한 정황이 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첨단 AI 칩 수요가 줄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수출이 재개된 저사양 H20 칩이 있지만, 거대언어모델(LLM)을 훈련하는 기업들은 성능이 월등한 H100과 같은 고사양 칩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