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AI 칩 시장을 주도하는 엔비디아를 분할하려 했으나, “실현이 매우 어렵다”는 참모들의 의견을 듣고 계획을 접었다고 23일(현지시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DC에서 열린 'AI 경쟁 승리 서밋' 연설에서 "나는 '엔비디아를 분할해 경쟁을 촉진하자'고 말했지만, 참모들이 그건 쉽지 않다고 했다"며 "엔비디아는 경쟁사들이 따라잡는 데 수년이 걸릴 만큼 압도적인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발언은 AI 반도체 시장에서 엔비디아의 독점적 지위가 정부 차원의 견제를 받을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됐다. 동시에 백악관이 직접적인 규제보다는 우호적 협력 기조로 방향을 틀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엔비디아 측은 이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자리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를 직접 칭찬했다. 그는 "황 CEO는 미국 투자와 관련해 정말 훌륭한 일을 했다"며 최근 황 CEO와의 백악관 회동을 언급했다. 젠슨 황은 이달 초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미국 내 AI 인프라 확충 및 칩 생산 확대 방안을 논의했으며, 지난주에는 트럼프 행정부의 수출 규제 완화로 중국에 H20 칩 판매를 재개할 수 있게 됐다고 발표한 바 있다.

황 CEO 역시 이날 연설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치켜세웠다. 그는 "미국의 독보적인 경쟁력은 바로 트럼프 대통령"이라며 "그의 리더십이 미국 기술 산업을 세계 1위로 유지하는 원동력"이라고 말했다.

엔비디아는 이달 초 미국 기업 최초로 시가총액 4조달러를 돌파하며 'AI 시대의 승자'로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행정부와의 관계가 항상 우호적이었던 것은 아니다. 지난해 미국 법무부는 엔비디아의 반경쟁 행위 가능성을 조사하며, 독점적 사업 관행과 AI 칩 공급망 지배력에 대한 감시를 강화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