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국내 조선업계가 미국의 대중국 제재 여파로 반사이익을 누리며 글로벌 수주 점유율을 대폭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연합]
올해 상반기 국내 조선업계가 미국의 대중국 제재 여파로 반사이익을 누리며 글로벌 수주 점유율을 대폭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연합]

올해 상반기 국내 조선업계가 미국의 대중국 제재 여파로 반사이익을 누리며 글로벌 수주 점유율을 대폭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세계 발주량 감소와 업황 불확실성 속에서, 이번 기회를 중국과의 기술·품질 격차를 벌리는 전환점으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9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가 발간한 ‘해운·조선업 2025년 상반기 동향 및 하반기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6월 우리나라 조선업의 수주 점유율은 25.1%(표준선 환산톤수 기준)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17.2%에서 8%포인트 가까이 상승한 수치다.

점유율 1위를 차지한 중국과의 격차도 지난해 51.0%포인트에서 올해 26.7%포인트로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연간 수주 점유율이 15.0%에 그쳤던 한국 조선업계로서는 반등의 전환점을 마련한 셈이다.

이번 점유율 반등의 배경에는 미국의 대중국 제재 조치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무역대표부(USTR)는 중국 해운사 및 중국산 선박을 운항하는 선사에 대해 미국 입항 시 추가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선 발주처가 중국에서 한국으로 대거 전환됐다.

실제로 올해 상반기 한국의 전체 수주량 487만CGT 중 컨테이너선이 차지한 비중은 53.3%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 중대형 컨테이너선 수주가 단 2척에 불과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보고서는 “미국의 해사산업 제재에 따라 일부 대형 컨테이너선 발주가 중국에서 한국으로 이동하면서 점유율 상승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글로벌 발주량 자체는 급감해 업계의 경계를 늦춰선 안 된다는 경고도 함께 나왔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세계 선박 발주량은 1,939만CGT로 전년 대비 54.5%나 줄었다. 특히 국내 조선사들이 강점을 보이던 액화천연가스(LNG)선 발주는 82.9% 감소한 105만CGT에 그쳤다.

한국도 수주 점유율은 상승했지만, 수주량은 지난해보다 33.5% 줄었으며 수주금액도 31.8% 감소한 161억4,000만달러에 머물렀다.

보고서는 “2021년 이후 처음으로 상반기 발주량이 건조량을 밑돌았다”며 “미국의 통상마찰이 글로벌 교역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신조선 발주에도 타격을 줬다”고 평가했다.

하반기에도 선주들이 신중한 발주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보고서는 이번 반사이익을 한국 조선산업의 근본 경쟁력 강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점유율 회복은 미중 갈등이라는 외부 변수 덕분에 얻은 어부지리일 뿐”이라며 “일시적 기회를 장기적 성과로 연결하려면 중국과의 품질 격차를 확대하는 데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조선사들의 재무 체력이 아직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조선산업이 국가 안보적 가치까지 갖춘 만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함께 병행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