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강남 아파트 전경[제공=ebn]
▶ 서울 강남 아파트 전경[제공=ebn]

서울 강남·서초·송파 등 이른바 '강남 3구' 아파트를 중심으로 세대 간 증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시장에선 고가 부동산을 매도하기보단 자녀에게 물려주는 방식으로 자산을 이전하려는 움직임이 뚜렷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29일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가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의 소유권 이전 등기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1~6월) 서울 아파트·오피스텔 등 집합건물의 증여 건수는 강남구가 336건으로 가장 많았다. 송파구(253건), 서초구(235건)가 뒤를 이었으며, 강남 3구 전체 증여 건수는 총 824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675건)보다 22% 증가한 수치다.

증여는 단기 흐름이 아닌 장기 추세로 자리 잡는 분위기다. 2023년 상반기 520건이었던 강남 3구 증여는 지난해 675건에 이어 올해 800건을 넘기며 2년 연속 큰 폭으로 늘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강화된 이후에도 꺾이지 않고 있다. 지난 6월 말 발표된 대출 규제 이후 7월(1~25일 기준) 강남 3구 증여 건수는 119건으로, 상반기 월평균(약 112건)을 넘어섰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36.8%나 증가한 수준이다.

증여가 늘어난 배경에는 강남권 아파트에 대한 '확신'이 있다. 부동산 가격이 다시 상승세를 보이자 자산가들은 단기 차익 실현보다는 자산 보존과 이전을 택하고 있는 것이다. "오르면 팔지 말고 물려준다"는 학습 효과가 시장에 뿌리내렸다는 해석도 나온다.

절세 전략으로서의 증여도 활발하다. 부부 공동명의로 아파트를 보유하면 종합부동산세 공제를 1인당 9억원씩, 최대 18억원까지 받을 수 있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제도를 활용한 부부 간 증여가 증가하면서 세제 차원의 이전 수요도 증폭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정부의 구체적인 세제 개편안이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도 자산가들은 이미 선제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시장 리스크가 크고, 세금 정책이 예측 불가능한 만큼 "현 시점에서 증여가 유리하다"는 판단이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시장 관계자는 "강남권 아파트는 단순한 부동산을 넘어 '가치 저장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며 "매도보다 보유, 보유보다는 증여로 이어지는 자산 이전 흐름이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우세하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