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한국디스플레이산업회관 전경. [출처=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지난해 말 기준 디스플레이 산업에 종사하는 인력이 전년 대비 27% 증가한 7만6631명으로 조사됐다.

Micro-LED 소자와 제조장비 등 신시장 확장을 중심으로 산업 외연이 빠르게 커지면서, 디스플레이 산업이 다시 한 번 성장 궤도에 올라섰다는 평가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는 산업통상자원부 '디스플레이산업 인적자원개발협의체(SC)' 사업의 일환으로 실시한 '2024년 디스플레이 산업인력 수급실태조사'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종사자 수 10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하며, 정책 수립 및 교육훈련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특히 올해 조사는 기존 디스플레이 산업군에 더해 △Micro-LED 소자 △제조 장비 업종을 포함하며 △대학 내 공급 인력 현황 △교과과정 실태 등도 새롭게 조사 대상으로 추가됐다.

디스플레이 산업은 최근 Micro-LED, 나노LED, QD(퀀텀닷) 등 무기발광 기술 중심으로 전환되며 산업 외연이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산업 종사자 수는 2023년 대비 27% 늘어난 7만6631명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업체 OMDIA에 의하면 오는 2035년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시장이 약 46조원(320억달러) 규모로 성장해 전체 디스플레이 시장의 2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초대형 TV △XR기기 △웨어러블 △모빌리티 등 다양한 영역으로 응용 가능성이 확대, 산업인력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의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기술인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31년까지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에는 총 5만9813명의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2021년 대비 1만7188명 순증, 연평균 약 3.4% 증가하는 수치다.

세부적으로 보면 △패널·모듈 생산기술 1만1598명 △패널·모듈 R&D 7603명 △장비 R&D 6888명 △장비 생산기술 6611명 △소재부품 생산기술 4933명 순으로 수요가 집중됐다.

하지만 겉으로 드러난 성장과 달리, 인력구조의 불균형 문제도 심각하게 나타났다. 2024년 퇴사 인력은 5401명으로 전년 대비 37%(1,470명) 증가한 반면, 신규 채용은 2372명에 그쳐 퇴사자 대비 44% 수준에 불과했다.

연령 구성도 변화했다. 20대 산업인력 비중은 전년보다 2.1% 감소한 반면, 50대 이상은 3.1% 증가해 청년 유입 감소와 중간 기술인력 이탈, 고령화에 따른 현장 대응력 저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대학 내 디스플레이 유관 학과 졸업생은 전체 5733명 중 315명(5.5%)에 그쳤고, 디스플레이 업계에 실제 취업한 비율은 269명(4.7%)에 불과했다. 절대적인 전공자 수 부족과 업계 유입률 저조 문제가 병존하고 있다.

이승우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부회장은 "디스플레이는 글로벌 시장을 지속 선도해 온 유일한 산업"이라며 "AX 시대에도 인간과 기술을 연결하는 핵심 역할을 맡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디스플레이 아카데미가 대학-현장 간 연결 고리와 재직자 커리어 설계, 고경력 퇴직자 세대 전수 등 세대 연계형 민관합동 인재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기대를 밝혔다.

한편 산업부는 오는 8월 디스플레이 아카데미를 공식 출범하고, 실무 중심 커리큘럼 및 프로젝트 기반 교육을 본격 지원할 계획이다. 또 21개 기업과 800여 명의 구직자가 참여하는 ‘K-Display 채용박람회’를 통해 인력 매칭과 채용도 함께 뒷받침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