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요금과 신선식품 가격 하락이 생활물가에 영향을 주면서 착시 효과를 낸 것으로 보인다. [출처=연합뉴스]
공공요금과 신선식품 가격 하락이 생활물가에 영향을 주면서 착시 효과를 낸 것으로 보인다. [출처=연합뉴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1%로 집계된 가운데 공공요금과 신선식품 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생활물가는 상대적으로 안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7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해 전달(2.4%)보다 오름폭이 둔화됐다. 전월대비 기준으로는 0.1% 상승에 그쳤다.

특히, 정부가 지난달 시행한 전기요금 인하 조치가 전체 물가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전기·수도·가스 부문은 전월대비 5.3% 하락, 전년동월대비로는 7.8% 하락해 전체 물가 상승폭을 크게 억제했다.

생활밀접 품목들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전월과 동일 수준(0.0%)이었고, 전년동월대비로도 2.5% 상승하는 데 그쳐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보다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체감 물가가 상대적으로 덜 오른 셈이다.

생활물가 안정의 또 다른 요인으로는 신선식품 가격 하락이 지목된다.

7월 신선식품지수는 전년동월대비 0.5% 하락했으며, 특히 신선과실은 -3.9%, 신선채소는 -1.5%를 기록했다. 주요 품목 중 복숭아(-30.9%), 수박(-27.8%) 등 과일류 가격 하락폭이 컸다.

또한 농축수산물 전체 가격도 전월대비 0.4% 하락하며 식료품 지출 부담을 완화했다. 이는 여름철 공급량 증가와 정부의 농산물 수급 안정 대책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다만 이러한 체감물가 둔화는 일시적인 착시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전기요금이나 일부 식료품의 계절성 요인이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근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2.3% 상승해 전체 물가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외식 등 서비스 물가 상승이 이어지고 있어 고정 지출 부담은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여름철 계절요인과 정책 대응 효과로 일부 품목의 물가 상승세가 둔화됐다고 평가하면서도 향후 유가 및 공공요금 인상 가능성, 식재료 수급 불안정 등 하방 리스크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