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
[출처=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미국 외 지역에서 생산된 반도체에 대해 약 100%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국내 반도체 업계는 수출 주력 품목에 대한 관세 폭탄 가능성에 긴장하고 있는 분위기다. 반도체는 자동차에 이어 한국의 대미 수출 2위 품목으로, 실제 관세 부과 시 수출 전선에 적잖은 충격이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애플의 미국 내 투자 계획 발표 행사에서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는 반도체에는 대략 100% 수준의 관세를 매기겠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이미 미국 내 공장 건설을 약속했거나 현재 건설 중인 기업들은 관세 부과 대상이 아니다"라며 "이는 아주 큰 발표(big statement)"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미국에서 생산을 진행하거나 약속한 기업들은 고용 규모나 생산량과 무관하게 관세를 면제받는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만약 어떤 기업이 미국 내 생산을 하겠다고 발표해놓고, 추후 입장을 번복한다면 그동안 누적된 관세를 청구할 것"이라며 "그 돈은 반드시 지불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번 발언은 자국 내 반도체 생산 유치를 위한 압박이자, 글로벌 공급망을 미국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트럼프식 '리쇼어링 전략'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반도체가 한국의 대미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점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반도체는 자동차에 이어 두 번째로 수출 규모가 크며, 이번 조치가 현실화될 경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기업들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

우리 정부는 지난달 30일 타결된 한미 무역 협상에서 반도체에 대해 '최혜국 대우'를 약속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따라 실제 세율이 어느 수준으로 결정될지는 불확실하다. 최혜국 대우가 관세 면제를 뜻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한편 애플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텍사스주 오스틴에 있는 삼성 반도체 공장에서 삼성과 협력해 차세대 칩 제조 기술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애플이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을 미국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삼성과의 기술 협업을 통해 미국 내 첨단 제조 역량을 강화하려는 포석으로 읽힌다.

국내 반도체 업계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방침이 실제 정책으로 구체화될 경우, 수출 및 현지 생산 전략에 대대적인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대응책 마련에 착수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