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
[출처=연합]

주요 시중은행의 예금담보대출(예담대) 잔액이 이달 들어서만 900억원 가까이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규제 강화로 주택담보대출·신용대출이 어려워진 차주들이 보유 예금을 담보로 자금을 조달하는 경우가 늘어난 영향이다.

13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예담대 잔액은 11일 기준 6조1402억원으로, 지난달 말(6조504억원)보다 약 열흘 만에 897억원 증가했다. 예담대 잔액은 지난 3월부터 6개월 연속 늘었으며 이번 증가폭은 7월 전체 증가액(+480억원)의 약 2배 수준이다.

은행권은 6·27 대출 규제 이후 주담대 한도(6억원 이내)와 신용대출 한도(연소득 이내)가 제한되자, 부족한 자금을 예담대로 메우는 사례가 늘었다고 분석한다. 예담대는 예금 납입액 범위 내에서 대출받는 상품으로, 신규 취급 시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적용받지 않는다.

특히 지난달 3단계 스트레스 DSR 규제가 시행되면서, DSR 적용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예담대로 수요가 쏠렸다. 

일부 은행에서는 3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 전 ‘선수요’까지 몰렸다. A은행의 경우 6∼8월 월평균 예담대 신규 취급액이 1∼5월보다 15% 이상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주식시장 활황과 공모주 청약이 잇따른 점도 영향을 미쳤다. 예담대는 생활자금뿐 아니라 투자 목적으로도 활용된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