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 세탁 솔루션 기업뿐만 아니라 호텔, 병원, 기숙사 등 다양한 분야의 B2B 고객들을 위한 맞춤 솔루션을 선보여 관람객의 눈을 사로잡았다. [출처=LG전자]
 전문 세탁 솔루션 기업뿐만 아니라 호텔, 병원, 기숙사 등 다양한 분야의 B2B 고객들을 위한 맞춤 솔루션을 선보여 관람객의 눈을 사로잡았다. [출처=LG전자]

LG전자가 북미와 유럽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상업용 세탁가전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LG전자는 현지시간 23일부터 나흘간 미국 올란도에서 열리는 북미 최대 세탁·섬유관리 산업 전시회 ‘클린쇼(The Clean Show) 2025’에 참가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전시를 통해 호텔, 병원, 기숙사 등 다양한 분야의 B2B 고객을 겨냥한 맞춤형 세탁 솔루션을 선보이며 영향력 확대를 노린다.

클린쇼는 전 세계 업계 관계자 9천여 명이 참가하는 글로벌 대표 전시회다. LG전자는 2008년 미국에서 소용량 제품 출시로 상업용 세탁가전 사업을 본격화한 이후, 미국 ‘클린쇼’, 독일 ‘텍스케어’ 등 주요 전시회에 꾸준히 참여해왔다.

이번 전시에서 LG전자는 약 231㎡ 규모의 부스를 마련했다. 대용량 ‘LG 프로페셔널(LG Professional)’을 비롯해 소용량 드럼 세탁·건조기, 통돌이 세탁기 등 풀 라인업을 전시한다. ‘LG 프로페셔널’은 세탁물 분석을 통한 AI 맞춤 코스 제공, 대용량 세탁 최적화 기술, 저온 제습 방식의 인버터 히트펌프 건조기 등을 앞세워 차별화를 꾀했다.

또 △상업용 세탁 전용 앱 ‘런드리크루(Laundry Crew)’ △API 활용 사례 등 통합 관리 솔루션도 공개했다. ‘런드리크루’는 원격 제어, 오류 알림, 스마트 진단 기능을 지원하며, 글로벌 고객을 겨냥해 다국적 결제 모듈과 개선된 UI/UX를 적용했다. API를 통한 맞춤형 솔루션 개발 지원도 강조했다.

LG전자는 올해 한국에서 먼저 출시한 ‘LG 프로페셔널’을 연내 북미와 유럽으로 확대한다. 특히 지난해 미국 2위 세탁 솔루션 기업 ‘워시(Wash)’에 이어 올해는 업계 1위 ‘CSC 서비스웍스(CSC Serviceworks)’에 상업용 세탁기를 공급하며 입지를 넓히고 있다.

시장 성장 전망도 긍정적이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스카이퀘스트에 따르면 글로벌 상업용 세탁 시장은 2032년까지 약 108억 달러(한화 약 15조1038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가정 내 세탁실 대신 공동 세탁 공간이나 빨래방 이용이 일반적이라는 점도 성장 배경이다.

류재철 LG전자 HS사업본부장은 "상업용 세탁 시장은 가전 사업의 질적 성장을 이끄는 핵심 B2B 분야"라며 "AI와 고효율 기술을 앞세워 미국 B2B 생활가전 시장에서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