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CEO스코어]](https://cdn.ebn.co.kr/news/photo/202508/1676040_692599_3257.jpg)
국내 500대 기업 기간제 근로자가 지난 4년 간 25% 가량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매출 기준 500대 기업 중 2021년부터 2025년까지 매년 6월 분기보고서를 공시한 334개사를 조사한 결과, 올해 6월 기준 전체 근로자 수는 132만4494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기간제 근로자는 10만3259명으로 전체 7.8%를 차지했다.
2021년 6월과 비교하면 전체 근로자는 4만7482명(3.7%) 늘어난 반면, 기간제 근로자는 2만1095명(25.7%) 증가했다. 이에 기간제 근로자 비중은 6.4%에서 7.8%로 1.4%포인트(p) 확대됐다.
기업별로는 삼양식품의 증가 폭이 가장 컸다. 2021년 6월 전체 직원 중 2.2%에 불과하던 기간제 근로자 비중은, 올해 6월 25.6%로 뛰어 23.4%p 늘었다. '불닭볶음면' 인기에 따른 생산직 수요 확대로 기간제 근로자가 600명 늘었다. 다만 정규직은 4년 간 69명 증가에 그쳤다.
같은 기간 한국씨티은행은 5.2%에서 28.3%로 23.1%p 확대됐다. 2021년 소비자금융 부문 철수 이후 희망퇴직자를 단기계약직으로 재고용한 영향이 컸다. 메리츠금융지주는 25.0%에서 46.2%로 21.2%p, HD현대미포조선은 1.6%에서 22.5%로 20.9%p 각각 상승했다.
반면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가장 크게 줄어든 기업은 대동이었다. 대동은 2021년 6월 28.1%에서 올해 6월 10.2%로 17.9%p 감소했다. 자이에스앤디(17.1%p↓), HD현대케미칼(16.6%p↓), 팬오션(14.8%p↓)도 감소폭이 컸다.
업종별로는 조선·기계·설비 분야의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8.9%에서 14.9%로 6.0%p 오르며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이어 자동차·부품(4.5%p↑), 상사(3.5%p↑), 철강(3.1%p↑), 은행(3.0%p↑), 운송(2.9%p↑) 순으로 확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