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통계청]
[출처=통계청]

 

올해 2분기 국내 가계의 실질 소비지출이 4년 반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국 가구(농림어가 제외)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283만6000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0.8% 증가했다.

기타상품·서비스(13.0%), 음식·숙박(3.3%), 보건(4.3%) 분야에서 지출이 증가한 반면, 교통·운송(-5.7%), 가정용품·가사서비스(-9.9%), 의류·신발(-4.0%)에서는 줄었다. 특히 자동차·가전제품 등 고가 내구재 구매가 줄면서 교통·운송 분야 지출 감소가 두드러졌다.

교육 지출도 크게 위축됐다. 실질소비지출 중 교육 소비지출은 전년 동기 대비 3.2% 줄었다. 학원·보습 교육비 지출이 줄어든 영향이다. 교육 분야 소비 감소 폭은 2020년 4분기(-15.8%) 이후 가장 크다.

이 같은 소비 위축은 한국은행이 발표한 소비자심리지수와는 상반된 흐름이다.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지난해 말 비상사태 선언으로 급락한 뒤, 올해 4월 93.8, 5월 101.8, 6월 108.7로 연속 상승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특히 6월 지수는 2021년 6월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소비자들의 심리는 개선되고 있지만, 실제 지출로는 이어지지 않았다.

이지은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2분기에는 국내외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이 소비 위축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특히 자동차나 가전기기 등 금액이 큰 내구재에 대한 지출이 줄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행의 소비자심리지수는 주로 생활 필수재 중심의 지출 심리를 반영한다”며 “실제 통계청 조사에서도 식료품이나 외식 등 소비자가 체감하는 필수 항목의 지출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가구당 월평균 비소비지출은 104만원으로 전년 대비 4.3% 증가했다. 경상조세(6.9%), 가구 간 이전지출(4.1%)이 늘어난 영향이다. 세금과 타인 지원 지출은 늘었지만, 본인 소비는 줄어든 셈이다.

같은 기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06만5천원으로 전년 대비 2.1% 증가했다. 그러나 물가를 고려한 실질소득은 1년 전과 동일한 수준에 그쳤다. 처분가능소득은 402만4천원으로 1.5% 증가에 그쳤고, 소비지출은 상대적으로 줄어든 탓에 평균소비성향은 70.5%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4개 분기 연속 하락세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