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EBN]
[출처=EBN]

정부가 올해 하반기 고속도로 주유소 100곳을 대상으로 '내일의 가격' 표시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히자 주유소 점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한국주유소협회는 4일 입장문을 통해 "주유소에서 전혀 주유를 해보지도 않은 사람이 만든 것은 아닌지 의심될 정도의 전형적 탁상행정의 산물"이라며 "이미 심각한 경영난을 겪는 주유소 사업자들에게 부담만 늘릴 뿐, 소비자에게는 어떤 서비스 개선 효과도 기대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전일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주유소가 다음 날 휘발유·경유 가격을 미리 표시해 소비자가 가격을 예측하고 합리적으로 구매하도록 돕겠다는 취지를 설명했다. 

하지만 업계는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보고 있다. 주유소 판매가격은 싱가포르 현물가를 기반으로 정유사 공급가격에 주유소 마진을 더해 책정되지만, 실제 주유소는 평균 2주에서 최대 4주 간격으로 제품을 공급받기 때문에 가격이 일일 단위로 변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내일 가격 표시가 소비자에게 의미 있는 정보가 될 수 없다는 지적이다.

협회는 "'내일의 가격' 표시제를 철회하고, 정부가 직접 판매 가격을 고시하는 '석유류 가격고시제' 부활을 추진하라"며 "정부가 헛발질 정책을 강행할 경우 전국 1만여 주유소의 뜻을 모아 집단행동 등 강력한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