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희 삼성SDS 대표가 1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리얼 서밋 2025'에서 기조연설을 발표하고 있다. [출처=삼성SDS]
이준희 삼성SDS 대표가 1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리얼 서밋 2025'에서 기조연설을 발표하고 있다. [출처=삼성SDS]

삼성SDS가 스스로 업무를 처리하는 'AI 에이전트' 시대를 선언하며, 기업의 AI(인공지능) 전환에 필요한 모든 것을 제공하는 'AI 풀스택(Full-stack)' 전략을 공개했다. 이와 함께 정부가 재추진하는 '국가 AI 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에도 적극적인 참여 의사를 밝혔다.

삼성SDS는 11일 서울 코엑스에서 고객 및 파트너 1만5000여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한 가운데 '리얼 서밋 2025'를 개최하고 이 같은 비전을 제시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이준희 삼성SDS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국가 AI 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 참여에 대해 "정부가 추진하는 AI 사업에 삼성SDS가 기여할 부분이 분명히 있다"며 "(사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이 사업은 2028년까지 1만5000개 이상의 GPU(그래픽처리장치)를 확보해 국내 기업과 기관의 AI 개발을 지원하는 민관 합작 프로젝트다. 정부는 민간 기업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공공 지분을 낮추고 투자 자율성을 높이는 등 사업 구조를 개편했다.  

다만 이 대표는 자체 LLM(거대언어모델) 개발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그는 "굉장히 많은 LLM 중에서 그때그때 상황과 고객에 적합한 LLM을 선택하는 것이 우리의 전략이자 철학"이라며 '멀티 LLM'을 지향하고 있음을 분명히 했다. 이는 특정 모델에 종속되지 않고, 고객에게 최적의 AI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집중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AI 에이전트 시대, 'AI 풀스택'으로 주도

이준희 삼성SDS 대표가 1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리얼 서밋 2025'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출처=진운용 기자]
이준희 삼성SDS 대표가 1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리얼 서밋 2025'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출처=진운용 기자]

이날 삼성SDS가 제시한 핵심 비전은 'AI 에이전트'와 이를 구현하기 위한 'AI 풀스택'이다.

이 대표는 기조연설에서 "단순한 AI 어시스턴트를 넘어, 개인의 일정과 선호도를 파악해 항공편 예약까지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AI 에이전트 시대가 열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SDS는 이러한 AI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인프라(삼성 클라우드 플랫폼) △생성형 AI 플랫폼(패브릭스) △AI 업무 비서(브리티 코파일럿) △업무 자동화(브리티 오토메이션) △컨설팅 역량까지 모든 영역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AI 풀스택 파트너'가 되겠다고 선언했다.

특히 브리티 코파일럿에 탑재된 '퍼스널 에이전트'는 실시간 통역, 회의록 요약, 업무 브리핑 등을 수행하며 '나를 가장 잘 아는 AI 비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KB금융그룹, 원익그룹 등 주요 고객사들이 직접 솔루션 도입 성공 사례를 발표했으며, SAP와 델 테크놀로지스 등 글로벌 파트너사 최고 경영진이 삼성SDS와의 강력한 파트너십을 강조했다.

이 대표는 "성공적인 AI 전환을 위해서는 인프라, 플랫폼, 솔루션, 컨설팅 역량을 모두 갖춘 파트너가 필수적"이라며 "삼성SDS는 AI 풀스택을 제공하는 파트너"라는 점을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