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문구업계가 다이소·쿠팡 등 대기업 유통채널의 저가 공세에 밀려 존폐 위기에 몰렸다. 불과 7년 만에 문구 소매점 수가 60% 이상 줄며 업계 구조가 급격히 무너지고 있다. [출처=연합뉴스]
전통 문구업계가 다이소·쿠팡 등 대기업 유통채널의 저가 공세에 밀려 존폐 위기에 몰렸다. 불과 7년 만에 문구 소매점 수가 60% 이상 줄며 업계 구조가 급격히 무너지고 있다. [출처=연합뉴스]

전통 문구업계가 다이소·쿠팡 등 대기업 유통채널의 저가 공세에 생존 위협을 호소하고 있다. 문구 소매점 수는 불과 7년 만에 60% 이상 줄어드는 등 업계 구조가 급격히 붕괴되는 양상이다. 하지만 단순히 대기업 규제만으로는 소비자 선택권을 제약할 수 있다는 반론도 커 정책 대응 방향을 둘러싼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한국문구공업협동조합과 한국문구유통업협동조합 등 문구 3단체는 11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형 유통사가 초저가 문구류로 시장 질서를 흔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문구 소매점은 지난 2018년 1만여 곳에서 올해 4000곳 이하로 급감했다.

한국문구유통업협동조합 관계자는 “매년 500곳씩 폐업하는 셈”이라며 심각성을 강조했다.

정부도 사태 인식을 공유하고 지난해 10월 대형마트·다이소 등 4개사와 상생협약을 체결했다. 신학기 할인행사 중단, 주요 학용품 묶음 판매 등의 조치가 포함됐지만 업계는 실효성 부족을 지적한다.

장낙전 한국문구유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일부 업체가 ‘사무용’ 등으로 용도를 바꿔 규제를 회피하고 있다”며 제도의 허점을 꼬집었다.

문구점 몰락은 대기업 유통 공세만으로 설명되기 어렵다는 분석도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온라인 문구·사무용품 거래액은 2017년 7329억원에서 지난해 2조327억 원으로 2.7배 증가했다.

여기에 학령인구 감소가 겹쳤다. 교육부 집계에 따르면, 올해 초등학생 수는 234만5488명으로, 10년 전보다 14% 줄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통 문구업계는 대기업 규제 없이는 업계 붕괴를 막을 수 없다고 호소하지만 일각에서는 섣부른 규제가 소비자 선택권을 침해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결국 해법은 ‘규제와 혁신’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데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프랜차이즈 문구업체 관계자는 “대기업 판매를 막는다고 해서 소비자들이 곧장 문구점으로 발길을 돌리진 않는다”며 “규제 일변도 접근은 소비자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 역시 “쿠팡과 다이소를 막겠다는 게 아니라 상생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문구 3단체는 정부 지원을 통한 체험형 서비스, 지역 문화공간 전환, 키오스크 도입 등 혁신을 병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동재 한국문구인연합회장은 “정부가 이번 기회에 지원책을 마련한다면 문구업은 단순 판매업을 넘어 새로운 모델로 국민에게 가치를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