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출처=포스코홀딩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출처=포스코홀딩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한국과 호주의 경제협력 확대를 위한 가교 역할을 강화했다. 

17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열린 제46차 한-호주 경제협력위원회 합동회의에서 장 회장은 한국측 위원장으로 회의를 주재했다.

이번 회의에는 호-한 경협위(AKBC) 마틴 퍼거슨 위원장, 산업통상자원부 박종원 통상차관보, 제프 로빈슨 주한호주대사 등 양국 정·재계 인사 200여 명이 참석했다.

회의 주제는 ‘한-호주의 산업·혁신·지속가능성 강화 방안’이었다. 핵심광물, 청정에너지, AI 생태계, 산업안전 및 재난 대응 등 5개 분야 협력 방안이 논의됐다. 특히 올해는 ‘AI 기반 산업안전·재난대응’이 특별의제로 처음 다뤄지며 협력 영역이 확대됐다.

장 회장은 "양국이 경제산업 투자 확대를 넘어 지역상생과 산업안전, 재난 대응까지 핵심 협력 분야의 외연을 넓히고 연대를 강화해 지속가능한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해법을 함께 모색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포스코그룹은 산업안전·재난대응 세션에서 신규 사회공헌사업을 소개했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의 재난 대응체계를 벤치마킹해 전국재해구호협회와 함께 △재난 상황 모의훈련 △대피시설 개선 △소방장비 지원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핵심광물 세션에서는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의 리튬 원료 가공 사업, 호주핵심자원연구소의 연구 활동 등 협업 사례가 발표됐다. 포스코는 호주 리튬을 국내로 들여와 수산화리튬을 생산 중이며, 안정적 공급망 강화를 위해 연구·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포스코그룹과 호주의 협력은 1970년대 철광석 구매에서 시작됐다. 포스코는 매년 약 70억 달러 규모의 철강 원료를 호주에서 들여오고 있으며, 이는 전체 구매량의 70%에 달한다. 또한 로이힐 철광석 광산개발, HBI(Hot Briquetted Iron) 프로젝트, 천연가스 사업 확대 등을 통해 협력 범위를 넓히고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