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
[출처=연합]

KT 무단 소액결제 사태로 인한 피해가 가입 기간과 세대를 가리지 않고 무작위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장겸 의원실이 K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까지 확인된 피해자는 총 362명이다. 

이 가운데 20년 이상 장기 가입자도 10명 포함돼 △1999년 가입자 3명 △2000년 2명 △2002년 1명 △2004년 4명 등 연도별로 고르게 분포했다. 가장 최근 피해자는 올해 7월 7일 신규 가입한 고객으로 확인됐다.

피해자 중 KT 고객이 아닌 KT 망을 이용하는 알뜰폰 가입자도 59명 포함돼, 피해가 특정 고객군에 국한되지 않았음을 보여줬다.

연령별로는 40대가 95명으로 가장 많았고, 30대와 50대가 각각 90명, 20대 36명, 60대 이상 51명으로 나타나 전 세대에 걸쳐 피해가 발생했다.

경찰 조사 결과, 이번 사건으로 검거된 중국 동포 A 씨는 윗선으로부터 500만원을 받고 아파트 밀집 지역을 대상으로 범행을 지시받았다고 진술했다. A 씨는 불법 소형 기지국(펨토셀)을 승합차에 싣고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 등 아파트 단지를 돌며 소액결제를 실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KT는 지난 11일 1차 발표에서 피해자를 278명으로 집계했으나, 18일 362명으로 정정했다. 이후 20일 이후에도 피해 지역이 계속 추가로 확인되면서 최종 피해 규모는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김장겸 의원은 "피해자 현황을 보면 특정 계층이나 연령이 아닌 무차별적 침해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며 "개인이 아무리 주의를 기울여도 막기 어려운 사태였으므로, KT는 손해배상과 함께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적 대책을 즉시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