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한국인터넷신문협회]](https://cdn.ebn.co.kr/news/photo/202509/1679890_697074_5442.jpg)
한국인터넷신문협회는 24일 성명을 내고 "재벌의 이익을 대변하는 한국광고주협회가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인신윤위)의 거버넌스를 장악한 현 구조는 세계 어디에도 유례없는 비상식적 형태"라며 "광고주협회는 인신윤위에서 즉각 손을 떼야 한다" 밝혔다.
인신협은 "지난 7월 9일부터 두 달여 동안 문화체육관광부 중재로 인신윤위와 총 6차례 협의를 진행했지만, 광고주협회가 거버넌스를 장악한 상황에서는 어떠한 통합 방안도 소용없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현재 인신윤위는 인터넷신문 자율심의 기구라는 명분으로 매년 8억 원가량의 정부 예산을 지원받고 있다.
하지만 정작 인터넷뉴스 생산자단체인 인신협은 빠져 있고, 광고주협회·인터넷기업협회·언론학회 등 3개 사단법인만 총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이로 인해 재벌 이익을 대변하는 광고주협회와 포털기업 이익단체가 주도하는 기형적 구조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인신윤위는 원래 인신협 주도로 설립·운영됐으나, 2023년 8월 광고주협회가 정관 개정을 통해 거버넌스를 장악하자 인신협은 탈퇴했고, 그 자리를 언론학회가 대신했다.
인신협은 "재벌 홍보임원들로 구성된 광고주협회가 언론 윤리기구의 중심에 있다는 사실 자체가 언론 자율성 훼손을 우려케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삼성그룹 홍보임원 출신인 노승만 광고주협회장이 인신윤위뿐 아니라 언론진흥재단 기금관리위원으로도 활동하는 점을 문제 삼으며 "언론진흥기금 배분이 언론 길들이기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의심을 피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인신협은 또 "광고협회장이 기금관리위원에 위촉된 경위는 지극히 비상식적이며,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 공개해야 한다"며 "광고주협회의 거버넌스 장악과 기금관리위원 활동 등이 광고주협회 다수 회원사의 동의에 따른 것인지 여부도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요구했다.
인신협은 "자율심의는 언론 스스로 자신을 심의하는 기능이다. 재벌 대변자가 개입하는 순간 자율은 붕괴된다"며 "정부가 매년 인신윤위에 예산을 지원하는 이유는 언론 자율성과 책임 강화를 위한 것이지, 광고주와 포털의 언론 자유 침해 수단을 주기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끝으로 인신협은 "명실상부한 언론 4단체의 일원으로서 허위정보가 난무하는 환경 속에서 언론윤리 확립에 앞장서겠다"며 "정부도 인터넷언론을 대표하는 인신협에 힘을 실어 건강한 언론 생태계 회복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인신협은 2023년 8월 인신윤위를 탈퇴한 뒤, 지난해 말 별도의 자율심의기구를 출범시켰다. 문체부는 지난 7월 두 기구 통합을 위한 중재에 나섰지만 성과를 내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