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제공=금융위원회]](https://cdn.ebn.co.kr/news/photo/202509/1680671_697976_4415.jpg)
석유화학 산업 재편을 위한 금융권 지원의 틀이 마련됐다. 금융권이 석유화학 재편을 위한 채권단 자율협약을 체결하고 만기연장·금리 연장 등 금융 지원에 나선다. 정부는 업계의 자구 노력이 기반돼야 한다는 방침도 재차 강조했다.
은행연합회는 30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17개 시중은행과 정책금융기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 구조혁신 지원을 위한 채권금융기관 자율협의회 운영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석유화학을 비롯한 주력 산업의 구조혁신을 선제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이다.
조용병 은행연합회장은 “석유화학 산업은 글로벌 공급 과잉과 근본적 경쟁력 약화라는 이중고에 직면해 있다”며 “범정부 차원의 구조개편 노력에 발맞춰 금융권도 자율협약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석유화학업계 구조혁신이 채권단 자율협약의 첫 사례가 될 것”이라며 “매우 난도가 높은 작업인 만큼 주채권은행이 사명감을 갖고 기업의 자구노력과 재편 계획을 엄밀히 평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만 “업계가 제시한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 실행계획은 여전히 부족하다”며 “시장 신뢰를 확보하려면 조속히 청사진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협약에 따르면 기업이 구조혁신 지원을 요청하면 주채권은행이 채권단 협의회를 소집해 절차를 개시한다. 이후 외부 공동실사를 통해 사업재편 계획의 타당성을 점검하고, 만기연장·금리조정·이자유예 등 금융지원 방안을 마련한다.
필요할 경우 신규 자금 투입도 가능하다. 사업재편 계획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이후 채권단과 구조혁신 약정을 맺어 본격적인 재편 작업이 시작된다.
은행권은 보다 적극적인 금융지원을 위해 “만기연장·금리조정 등 지원이 이뤄진 채권의 자산건전성 분류 기준을 명확히 해 달라”고 건의했다. 금융당국은 이에 대해 “건전성 분류를 상향 조정할 수 있다”며 지원 의지를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