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에서 리스크 완화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다. 금융권 PF 여신 규모가 줄고 연체율이 개선되는 등 지표 전반이 안정세로 접어든 모습이다. 다만 지역별 미분양 부담과 업권별 편차가 여전해 완전한 안도에는 이르지 못했다는 평가다.

5일 NICE신용평가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금융권 PF 총 여신은 186조6000억원으로 3월 말(190조8000억원)보다 줄었다. 이 가운데 유의·부실우려 사업장은 20조8000억원으로 전체의 11.1%에 그쳤다. 직전 분기(11.5%)보다 소폭 낮아진 수치다. 신규 취급이 둔화된 반면 사업 완료와 정리·재구조화가 꾸준히 진행된 덕분이다.

실제 상반기까지 정리·재구조화 성과가 빠르게 누적됐다. 전체 대상 여신 23조9000억원 가운데 절반이 넘는 12조7000억원이 처리됐다. 경·공매와 수의계약, 상각 등을 통한 정리 규모가 8조7000억원, 신규 자금 공급과 자금구조 개편에 따른 재구조화가 4조원이다. 그 결과 PF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6%포인트, 연체율은 4.1%포인트 하락하며 건전성 지표가 확연히 개선됐다.

업권별 익스포저 부담도 완화되는 추세다. 2022년 말과 비교하면 캐피탈사의 PF 익스포저는 자기자본 대비 95%에서 56%로, 저축은행은 141%에서 57%로 크게 낮아졌다. 증권사 역시 37%에서 35%로 줄었다. 위험도가 높은 브릿지론 비중도 전 업권에서 감소했다. 증권사 비중은 같은 기간 26%에서 19%로 줄었고, 캐피탈사와 저축은행도 각각 22%, 54%까지 낮아졌다.

금융당국은 이러한 흐름을 제도 개선으로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연내 확정될 PF 건전성 규제에는 자기자본비율 상향(20%)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다만 업계에서는 급격한 규제 강화가 자금 공급을 위축시킬 수 있다며 단계적 시행과 유예기간을 요청하고 있다. 금융당국도 업계 의견을 반영해 최종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긍정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시장 불안 요인은 여전히 남아 있다. 업권별 리스크 수준의 격차가 크고, 일부 금융사에는 여전히 PF가 수익성과 자산건전성의 부담으로 작용한다. 지방 미분양 물량이 줄지 않고 누적된 데다 수도권 신규 인허가도 부진해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사업성이 열위한 잔여 사업장은 정리 과정에서 손실이 불가피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신용평가사 관계자는 "PF 관련 익스포저가 줄고 연체율도 개선됐지만 업권별·지역별 편차가 크고 지방 미분양 부담이 여전하다"며 "잔여 부실 사업장 처리 과정에서 손실 가능성이 남아 있는 만큼 경계심을 늦추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NICE신용평가도 "업권 및 지역별 양극화와 부실 정리 지연은 금융회사 실적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이라며 "각 금융사의 포트폴리오와 재무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점검해 신용등급에 적기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